경찰이 25일 고(故) 백남기 농민의 부검영장 집행을 시도했다 유족 측의 반대로 자체 철수했다.<br /><br />그러나 명확한 사인 규명을 위해 부검이 불가피하다는 경찰 입장에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여 부검 논란은 사그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.<br /><br />서울 종로경찰서는 이날 오후 3시 백남기 씨 시신이 안치된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을 찾아 부검영장 강제 집행을 재시도했다.<br /><br />홍완선 종로서장은 형사 100여명과 경비 병력 9개 중대 등 약 1.000명을 현장에 투입하자, 백남기 투쟁본부 소속 600여 명은 강하게 반발하며 이들의 진입을 막았다.<br /><br />홍 서장은 "명확한 사망 원인 규명위해 부검이 필요하다"며 투쟁본부 천막에서 투쟁본부 법률대리인 등과 함께 두 차례에 걸쳐 면담을 진행했지만, 투쟁본부와 유족 측은 영장집행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.<br /><br />이후 경찰은 내부 논의를 거쳐 오후 5시 50분쯤 영장 집행을 중단한다는 방침을 밝힌 뒤 철수했다.<br /><br />홍 서장은 "투쟁본부에서 극렬히 저항한 사이 날이 저물고, 야간집행에 따른 안전사고 불상사가 우려돼 강제집행하지 않고 철수한다"며 "영장을 집행하지 못해 발생하는 사인 관련 논란 등 책임은 모두 투쟁본부 측에 있다"고 말했다.<br /><br />투쟁본부는 경찰 철수 후 기자회견을 통해 "검찰과 경찰은 영장 재청구 시도를 중단해야 하고, 재청구되면 법원은 이를 기각해야 한다"며 "부검영장 연장은 유족에게는 고문과 다름없는 너무나 잔인한 처사"라고 강조했다.<br /><br />백 농민의 장녀 백도라지 씨는 "경찰이 우리에게 책임을 넘기는 적반하장격"이라며 "경찰은 영장 재신청 문제와 관련해 사건에 대한 진정성과 고인에 대한 존중을 보여주길 바란다"고 말했다.<br /><br />이날은 법원이 부검에 관한 유족과 협의 등 조건을 명시해 발부한 부검영장 집행 만료일이다.<br /><br />경찰은 검찰과 협의를 거쳐 영장 재신청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