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김정아 앵커, 박광렬 앵커 <br />■ 전화연결 : 왕선택 / 통일외교 전문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이동식 발사 차량에서 발사할 수 있는지를 놓고 정부 기관 사이에 판단이 다르다, 이런 지적이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과 미국의 비핵화 협상 시기나 제3차정상회담 시기와 관련한 국가 정보원 전망에서도 해석을 놓고 논란이 나오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 연결해서 논란내용과 배경 짚어보겠습니다. 왕선택 기자! <br /> <br />일단 북한이 개발한 대륙간탄도미사일, 그러니까 ICBM를 이동식 발사 차량에서 쏠 수 있는지를 놓고 국가안보실장은 쏠 수 없다 그리고 국정원은 쏠 수 있다, 이런 상반된 판단을 내놨습니다. 뭐가 맞는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안보실 또 국정원, 국방부 실제로 이 부분에 대해서 다른 판단을 하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고요. <br /> <br />다만 이것이 의사소통 과정에서 어떤 표현방식의 문제가 아닌가, 이렇게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의용 실장의 경우는 이동식 발사차량이라는 개념에서 발사차량에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발사차량에서 바로 쏘지 못하는 상황을 강조를 해서 기술 부족을 거론한 것인데요. 실제로 북한은 2016년 말과 2017년 초에 무수단 미사일으로 시험발사했는데 발사하자마자 이것이 그 직후에 폭발하면서 차량이 파괴되는 사고를 적어도 한 번 또는 두 번 정도 당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 이후에 북한은 발사 차량에서 미사일을 발사하지 않고 거치대를 이용해서 장치를 한 다음에 트럭은 빠지는 그런 형식을 이용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것은 이동식 발사차량이 신속하게 이동을 해서 발사한다는 원래 역할이라든가 기능을 고려할 때 기술 부족 가능성이 사실은 매우 농후한 것이 사실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국가정보원과 국방부는 이동식 발사차량이라는 개념에서 이동식에 주목하고 있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거치대를 이용했기 때문에 발사 차량에서 발사하는 상황을 주목하는 것은 그럴 수 있지만 미사일 발사 장소를 자유자재로 결정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이동식 발사가 가능하다 이렇게 판단하는 것이죠. 이렇기 때문에 이것은 판단이 충돌하는 것이 아니고 표현의 문제라고 보는 것이 맞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동식 차량에서 쏠 수 있느냐는 우리의 탐지 여부와 관련이 있기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110511035950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