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박백범 / 교육부 차관] <br /> <br />안녕하십니까? 교육부 차관 박백범입니다. <br /> <br />13개 대학에 대한 학생부 종합전형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교육부는 입시제도 공정성 측면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의 문제점을 개선·보완하기 위해 학생부종합전형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실태조사에서는 13개 대학을 대상으로 하여 지난 4년간 202만여 건의 자료를 바탕으로 학종의 평가과정을 점검하고, 대학들이 학종을 운영할 인적·제도적 기반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, 고교별 합격자 현황을 고교유형이나 소재지, 부모의 경제적 여건에 따라 분석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러한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부종합전형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고, 추가적으로 확인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특정감사를 실시하여 필요한 경우 행정적인 조치를 취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실태조사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‘학생부'를 분석한 결과, 고교유형 사이에는 양적 차이가 거의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일부 학생부에서 고의적인 편법기재 또는 기재 위반 사례를 확인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고교별 프로파일과 관련하여,일부 고교는 추가 자료에 해당 고교의 대학 진학실적을 포함하거나, 학생의 어학성적 등 부적절한 사항을 편법적으로 제공하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이러한 고교프로파일 등 고교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을 조사한 결과, 5개 대학은 지원자 출신 고교의 과거 졸업자가 해당대학에 얼마나 진학했는지 등을 평가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평가시스템에서 정보를 제공하였으며, 2개 대학은 지원자 출신고교 또는 동일유형 고교 내신등급과 지원자의 내신등급을 비교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으로, 대학별 내신등급을 분석한 결과,과학고, 외고·국제고, 자사고, 일반고 순의 서열화된 고교체제가 지원부터 합격, 등록에 이르기까지 학종 전형의 전 과정에서 일관되게 나타나, 특정고교 유형이 우대받을 수 있는 정황을 확인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‘자소서·추천서'의 경우, 기재금지 위반이 2019년 한해에만 366건, 자소서에서 표절로 추정되는 경우도 2019년 228건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, 이러한 기재금지 위반 및 표절의 경우에도 대학이 평가에 반영하지 않거나, 단순히 해당 사실을 평가자에게 안내하는 등 적절한 수준의 불이익 조치가 취해지지 않은 경우를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pn/0301_2019110514001582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