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DLF 손실 사태 대응책...다음 달부터 시행 / YTN

2019-11-17 19 Dailymotion

파생결합펀드, 이른바 DLF 대규모 손실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이르면 다음 달부터 금융권이 대응책 시행에 들어갑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 은행에서 예·적금 창구와 펀드 창구를 물리적으로 따로 떼어놓는 방안 등이 고려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 김태민 기자! <br /> <br />여러 강도 높은 대책들이 나오고 있는데 자세한 내용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 앞서 금융당국은 대규모 원금손실을 빚은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, DLF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해 개선방안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원금 손실 가능성이 20%가 넘는 '고난도 금융투자상품'이란 개념을 새로 만들어 규제하고 사모펀드의 은행 판매를 금지하기로 한 겁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더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앞으로 2주 동안 업계 의견을 반영한 뒤 이르면 다음 달부터 대응책 시행에 나서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우리은행과 KEB 하나은행이 도입한 금융투자상품 리콜 제도와 숙려 제도를 다른 은행에도 확대하는 방안을 유도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또 은행의 핵심성과지표, KPI에 고객 수익률을 반영하도록 해 은행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투자자 보호에 나서게 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원금보장형이 아닌 상품을 판매할 때는 아예 판매 창구를 따로 떼어두는 방안 등이 대표적입니다. <br /> <br />예금 잔액이 많은 고객이 예·적금 업무를 보려고 찾은 창구에서 펀드를 권유하는 사례가 많은데요, <br /> <br />두 창구를 물리적으로 분리해 무분별한 판매를 막겠다는 취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다면 앞으로 은행 금융상품 판매는 어떻게 변화할 전망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 이처럼 고위험 금융상품에 각종 규제조치가 마련되면서 은행들 역시 판매 전략을 바꿀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상대적으로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작고 투자자 보호 장치가 잘 갖춰진 공모펀드 중심으로 판매 채널을 전환할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금융위원회는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원금 비보장형 파생결합증권 가운데 원금 20% 이상 손실 위험이 있는 상품 규모는 74조 4천억 원으로 집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앞으로는 여기에 안전자산 편입 비중을 더 높인 새로운 상품이 더 나올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계속되는 저금리 기조 속에 투자자들이 수익률 낮은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면서 은행들의 수익성이 악화할 거란 우려도 함께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김태민[tm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111714192925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