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, 지소미아와 관련해 일본 정부도 국가안전보장회의, NSC를 열며 긴박하게 움직이긴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기존 입장은 요지부동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 정부에 대해 현명하게 대응하라며, 종료 결정을 재고할 것을 거듭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상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, 즉 지소미아 종료 사태를 막기 위해 끝까지 협의 채널을 닫지 않는다는 것이 한국 정부의 방침. <br /> <br />그러나 종료가 임박한 가운데 열린 일본 정부의 국가안전보장회의 결과는 기존과 전혀 변함이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안보 관련 각료들은 잇따라 지소미아 종료 책임을 한국 정부에 돌리며, 결정을 재고할 것을 거듭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관방장관은 "한국이 지역 안보 환경을 완전히 잘못 봤다며 기존 입장에 변화가 없음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 /> <br />고노 방위상은 특히 북한 정세와 관련해 한미일 협력을 강조하며 한국의 현명한 대응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마이니치 신문 등 일본 언론은 한일 양국이 서로 양보해 접점을 찾을 출구가 보이지 않는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측은 수출규제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일본은 강제징용 피해보상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이른바 문희상 국회의장이 최근 일본 측에 제시한 한일 기업과 양국민 성금을 바탕으로 한 이른바'1+1+알파' 징용 해법안은 아직 살아있는 듯 한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일한의원연맹 간사장인 가와무라 의원은 아베 총리가 명확하게 이 안을 부정하지 않았다며 이를 제대로 하면 해결책이 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지소미아 종료가 현실화될 지 막판 극적인 대타협이 이뤄질지 일본 언론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상우[kimsa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112204350498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