선거제 개혁 법안이 패스트트랙 절차에 따라 오늘 새벽 0시를 기해 국회 본회의에 자동 부의됐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어제 여야 원내대표들이 만나 해법을 찾으려 했지만 강 대 강, 입장 차만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선거제·검찰개혁·유치원 3법·예산안 등이 모두 얽힌 연말 국회, 어떤 순서로 어떻게 풀 수 있을지 누구도 자신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나연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막바지 협상에 모든 정치력을 쏟아붓겠다지만, <br /> <br />[이인영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: 앞으로 일주일이 국회의 모든 지도자들이 고도의 정치력을 발휘해야 하는 결정적인 순간입니다.] <br /> <br />협상 전망은 여전히 어둡습니다. <br /> <br />[나경원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: 이제 패스트트랙 무효 선언만이 답입니다. 불법과 폭거의 뿌리를 뽑아주십시오.] <br /> <br />선거제 개혁 부의를 하루 앞두고, 여야 원내대표들이 또 머리를 맞댔지만 역시나 굳은 얼굴로 돌아섰습니다. <br /> <br />황교안 대표의 단식 투쟁도 어느덧 일주일째, 패스트트랙 철회를 전면에 내건 한국당에서는 '의원직 총사퇴'라는 결기까지 흘러나옵니다. <br /> <br />민주당은 일단 지난 4월 패스트트랙 지정에 함께한 다른 야당들과 공조 체계를 복원해 한국당을 빼고 법안을 처리하는 '최후의 카드'를 준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이른바 '게임의 룰'인 선거제도를 제1야당 합의 없이 바꾸는 것도 부담인 데다, 바른미래당 비당권파의 반대 기류도 심상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[유승민 / 바른미래당 의원 : 민주당과 민주당 2중대 정당들이 (합의되지 않은 선거법 통과를)획책하면 저희는 필리버스터를 해서라도 끝까지 막아보겠다는 의지를 밝힌 거고요.] <br /> <br />패스트트랙 법안을 중심으로 꽉 막혀버린 국회에서는 '민식이법'을 포함한 다른 법안들도 제자리에 서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는 29일 비쟁점 법안을 처리하기 위한 본회의가 열리지만, 이날 자동 상정될 '유치원 3법'도 한국당이 수정을 요구하고 있는 데다, 다음 달 2일 예산안 상정, 3일 공수처법 부의까지 연말 국회 달력은 넘길수록 첩첩산중입니다. <br /> <br />결국, 각 당의 이해관계가 가장 첨예하게 얽힌 선거제 협상의 실마리를 찾는 게 급선무입니다. <br /> <br />패스트트랙 원안인 지역구 225석·비례대표 75석 대신 지역구 240석, 250석 같은 협상안이 더 많이 거론되는 것도 그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YTN 나연수[ysna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112703501677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