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엿새 만에 중대 시험을 실시했다고 발표한 데 대해 청와대는 공식 대응을 자제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설정한 '연말 시한'을 앞두고 북미 대화의 동력을 이어가는 게 과제지만 뚜렷한 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김도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은 이번 '중대 시험'이 전략적 핵전쟁 억제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으면서도, 미국을 겨냥한 시험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스스로 연말까지라고 선언한 북미 협상 시한을 앞두고, 엿새 만에 잇따라 시험을 실시하며 대미 압박 수위를 끌어올리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는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NSC 상임위 소집과 같은 공식 대응은 자제했습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, 한미 정보당국이 공조해 면밀히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민감한 국면에서 자칫 긴장이 더 고조되지 않도록 상황을 관리해야 한다는 판단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(지난 5일) : 지금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 구축을 위한 프로세스가 중대한 기로를 맞이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청와대는 북미 협상의 조속한 재개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북한이 우리 정부에 대한 강한 불신을 보이고 있고, 소통 채널도 열지 않고 있어 돌파구를 찾기 어려운 실정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곧 방한하는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를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만나 북미 대화 재개 방안을 논의할 가능성도 거론됩니다. <br /> <br />또, 오는 23일 중국 방문 때 시진핑 주석과 회담이 이뤄진다면, 비핵화 협상의 진전을 위해 협력해줄 것을 당부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2017년과 같은 위기 상황으로 돌아가는 것은 막아야 한다는 목표 속에서 문 대통령의 연말 외교가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 김도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121420010662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