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, 성탄절 전야와 당일 정찰기 4대 동시 출격 <br />북한은 성탄절 전날부터 특이동향 보이지 않아 <br />북한 노동당 전원회의 개최 임박 징후도 없어<br /><br /> <br />북한이 성탄절을 계기로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고강도 도발 가능성이 제기됐지만, 북한에서는 특이한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도발을 자제할 가능성과 함께 도발한다고 해도 김정은 국무위원장 신년사 이후에 감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번 성탄절은 서울과 워싱턴에서 전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팽팽한 긴장감 속에서 맞이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3일 북한 외무성 리태성 부상이 성탄절 선물이 무엇이 될지는 미국 결심에 달렸다고 경고한 것이 계기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경고가 고강도 도발, 즉 장거리 미사일 발사나 인공위성 발사 시사로 해석되면서 긴장감이 고조된 겁니다. <br /> <br />성탄절 고강도 도발 우려는 미군의 민감한 반응을 불렀습니다. <br /> <br />미군은 전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한반도 지역에 대한 정찰 감시 자산 투입에 대한 정보를 노출했고, 성탄절 전야와 당일 정찰기 넉 대를 동시에 투입한 것이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성탄절 전날에 이어 당일도 북한은 장거리 미사일이나 인공위성 발사 준비 등 특이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별도로 예고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5차 전원회의와 관련해서도 개회가 임박했다는 징후가 포착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북한이 성탄절을 계기로 한 고강도 도발을 하지 않고 넘어갈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에 무게감이 쏠리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우회적으로 북한에 도발 자제를 요청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연말 시한이나 성탄절 선물 언급이 한국이나 미국에서 예상보다 큰 반향을 일으키고 김정은 국무위원장 결단에 대한 주목도를 높인 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 남은 며칠 동안에도 모호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신년사에서 김 위원장의 정책 노선을 제시할 가능성이 더욱 커진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122521501220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