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프리카돼지열병, 9월 17일 첫 확진 <br />발병 지역 사육돼지 44만 마리 살처분 <br />북한 접경 지역에서 멧돼지 폐사체 잇따라 발견 <br />10월 9일 이후 사육 돼지 발병 소식 없어<br /><br /> <br />한대 기세가 맹렬했던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백 일 넘게 잠잠하며 한해를 넘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유입 경로가 밝혀지지 않았고 봄철 전파 가능성도 적지 않아 섣부른 안심은 금물이란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류재복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9월 17일, 첫 확진 판정이 난 아프리카돼지열병. <br /> <br />경기 북부와 인천을 중심으로 하루가 멀다고 발생 소식이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돼지를 많이 기르는 충청 지역은 전염 공포 때문에 불안한 나날을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종복 / 충남 홍성군 (지난 9월) : 병이 한 번 오면 몇 년 간다고 하더라고요. 몇 년 안 먹여야 괜찮다고요. 그러니까 다 끝난 거죠. 3∼4년 안 먹이면 그동안 뭐하겠어요.] <br /> <br />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아 14건이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동 중지나 대대적 방역에도 확산 세는 좀처럼 꺾이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결국, 초강수를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발병 지역 사육돼지 44만 마리를 모두 없애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낙연 / 국무총리 : 바이러스가 거의 창궐 직전까지 갔다고 판단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. 그래서 다른 돼지들도 예방 처분하기로 농가들과 합의를 이뤘습니다.] <br /> <br />이번엔 야생 멧돼지에서 바이러스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멧돼지는 가장 유력한 바이러스 전염원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, 북한 접경 지역에서 폐사체가 잇따라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멧돼지 남하를 막기 위해 울타리를 치고 사살을 허용하는 등 전파 차단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[김현수 /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: 개체 수를 줄이면 경계지역에 있던 멧돼지가 아래로 내려가려는 활동성이 줄 겁니다. 먹이 등을 구하기 쉬워지니까. 동시에 차단 지역을 제로화하면…] <br /> <br />지난 10월 9일 이후, 사육 돼지에서 바이러스 소식은 없습니다. <br /> <br />가능성도 상당 부분 차단됐다는 평가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종식 선언 등은 아직 검토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질병 유입 경로가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데다 봄이 돼 기온이 오르면 또다시 번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내년 방역 예산을 3천700억 원으로 늘렸습니다. <br /> <br />YTN 류재복[jaebogy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123103121617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