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0대 젊은 리더십, 국제정치 무대에서 대안으로 부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국제 무대에서 30대 리더십이 새로운 정치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30대 총리, 대통령이 잇따르고 있는 건데요.<br /><br />30대 장관 1명 없는 한국의 젊은 정치인에게는 부러움과 도전의 대상입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'안보분야의 다보스 포럼'으로 불리는 뮌헨 안보회의 연단에 오른 젊은 남성.<br /><br />유럽으로 몰려드는 난민 대응책으로 국경 통제의 불가피성에 대해 소신을 쏟아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실각했다가 새해 첫 날 오스트리아 총리로 권토중래한 제바스티안 쿠르츠 총리입니다.<br />현재 서른 네살.<br /><br />'현직 최연소 국가 정상'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쥐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 국민당과 녹색당 모두 우리가 내걸었던 공약을 지킬 수 있을 겁니다."<br /><br />EU 정상회의에 참석한 정상들 사이에 젊은 여성이 눈에 들어옵니다.<br /><br />서른 네살인 핀란드의 산나 마린 총리입니다.<br /><br />총리로 뽑힌 지 불과 며칠되지 않았지만, 정치 거물들 사이에서도 당당한 모습입니다.<br /><br /> "기후 문제가 걱정입니다.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지런히 일해야 합니다. 그것은 우리 아이들 미래에 관한 겁니다."<br /><br />지난 2017년 뉴질랜드의 저신다 아던 총리도 서른 여섯살에 총리직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아던 총리는 극우 인사가 이슬람 사원에 총격을 가해 50명이 숨졌을 때 히잡을 쓰고 이민자들을 찾아 위로해 전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.<br /><br />강성 노조의 반대에 맞서 프랑스의 오랜 숙제인 연금개혁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.<br /><br />그도 지난 2017년 취임 당시, 30대의 끝자락이었습니다.<br /><br />미국도 예외가 아닙니다.<br /><br />올해 미국 대선을 앞두고 서른 여덟살 피트 부티지지 인디애나주 사우스벤드시장이 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민심을 읽지 못하는 정치권의 일방통행과 부패 등으로 유권자들이 정치에 등을 돌리고 있는 상황에서 국제사회에서는 젊은 리더십이 대안으로 선택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