새해 초 송도 타워크레인 붕괴…2명 사망 <br />안전 조치 무시한 ’인재’ 추정 <br />하청 담당 ’설치·해체’ 작업에 사고 집중<br /><br /> <br />새해 초부터 노동자 2명이 숨지고 1명이 크게 다치는 등 타워크레인 안전사고가 해마다 반복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무부처인 고용노동부는 사고를 막겠다며 지난 2017년 '밀착관리'라는 대책을 내놓았는데요, <br /> <br />인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불과 1년 만에 손을 떼 사실상 방치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신준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새해 초 발생한 타워크레인 참사, <br /> <br />해체 작업이 진행되던 30m 높이 타워크레인이 부러지면서 작업자 2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. <br /> <br />공사 기간과 비용을 줄이려고 최소한의 안전 조치마저 무시하다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[한상길 / 한국타워크레인협동조합 이사장 : 작업절차 미준수한 거고, 볼트를 정해진 개수대로 채워야 하는데, 부분적으로 채워져 있었고. 이런 것들은 인재사고기 때문에 100% 막을 수 있는 건데도 불구하고….] <br /> <br />이번처럼 소형 타워크레인 사고는 하청업체가 맡아서 하는 설치나 해체 과정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지난 2013년부터 5년간, 전체 타워크레인 사망 사고의 75%는 설치나 해체 작업 도중 일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사망자 수 기준으로는 80%를 넘습니다. <br /> <br />비판 여론이 높아지자 고용노동부는 지난 2017년 11월, 모든 설치·해체 작업에 근로감독관을 파견하는 '밀착 관리'를 대책으로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효과는 곧바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2018년에 타워크레인 사고는 12건이 발생했지만, 설치나 해체 작업에선 한 건도 발생하지 않은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서도 '밀착 관리' 제도는 불과 11개월 만에 돌연 중단됐습니다. <br /> <br />전국의 근로감독관 350여 명을 모두 타워크레인 관리에 동원해야 할 만큼, 인력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고용노동부 관계자 : 한정된 인력으로 하려면 저희는 일종의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거죠.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을 수밖에 없는 거고.] <br /> <br />'밀착 관리'가 중단되자 지난해 타워크레인 사고는 19건으로 다시 늘었고 6명의 사상자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오는 16일 원청업체가 직접 타워크레인 설치 해체 작업을 감시하게 하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관리 사각지대는 해소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정부가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'인재'를 1년 넘게 무방비로 내버려뒀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11205301516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