’라임자산운용’ 1조 5천억 규모 펀드 환매 중단 <br />"라임 원금 손실 40% 가능성"…투자자 동요 <br />불완전판매 관련 분쟁조정 100여 건, 금감원 접수<br /><br /> <br />지난해 말 라임자산운용의 대규모 펀드환매 중단 사태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사태의 핵심 인물이 잠적했고 해당 펀드의 주요 투자처인 미국 헤지펀드 운용사가 증권사기 혐의로 제재를 받았다는 소식까지 더해지면서 혼란이 커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투자자들은 해당 펀드 상품을 판매한 은행 등 판매사들이 부당한 방법으로 펀드에 가입시켰다며 분쟁조정 절차에 돌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백종규 기자! <br /> <br />펀드에 가입한 고객들이 금융감독원에 분쟁조정 민원을 100여 건 접수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지난해 10월이었죠. <br /> <br />국내 사모펀드 운용업계 1위, '라임자산운용'이 1조 5천억 원 규모의 펀드 상환과 환매를 중단한 일이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라임 측이 원금은 지킬 수 있다고 했지만, 원금 손실 규모가 40% 이상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투자자들이 동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금감원에 100건이 넘는 분쟁조정 민원이 접수됐습니다. <br /> <br />라임 펀드에 투자자들이 은행을 비롯한 펀드 판매사들이 부당한 방법으로 가입을 유도했다는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금감원은 해당 은행에 불완전 판매 등에 대한 사실 조회를 요청해 놓은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불완전 판매 여부를 특정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대규모 원금 손실을 일으킨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, DLF는 위험성이 높아 판매사 책임을 가리기 쉬웠지만, 라임 펀드는 위험도가 3~4등급이어서 불완전 판매를 가르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은행권을 중심으로 한 판매사들도 라임 측의 위법 행위에 대해 법적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 라임자산운용 펀드를 판매한 판매사들이 공동 대응 단을 꾸렸습니다. <br /> <br />판매사들은 회계법인 실사와 금융감독원의 검사 결과에 따라 라임의 위법 행위가 사실로 확인되면 형사 고소 등 가능한 모든 법적 조치를 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동 대응 단은 우리은행을 중심으로 신한과 하나, 기업, 부산, 경남, 등 16개 은행과 증권사로 구성됐습니다. <br /> <br />공동대응 단은 라임 측이 환매 연기 중인 펀드의 부실 징후를 알고도 판매사에 판 건 아닌지, 펀드 수익률을 좋아 보이려고 부정한 수단을 쓰지 않았는지 등을 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11211594039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