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종 코로나 사태로 중국에 대한 수출 비상 <br />2003년 사스 때 對中 수출 차질액 4억 5천만 달러<br /><br /> <br />지난 2003년 사스 사태 때는 우리나라의 중국에 대한 수출이 40∼50% 급증하던 시기여서 수출 증가세가 약간 둔화했다가 곧 회복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번 신종 코로나 사태는 최근 14개월째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상태에서 발생해 우리 수출에 위기감이 감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박병한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으로 중국에 진출한 한국 공장의 직원들이 국내로 철수하고, 국내에 부품을 공급하는 중국 공장들의 가동도 멈추면서 우리 수출에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3년 상반기 유행했던 사스의 경우 단기적으로 수출 증가 폭이 둔화했지만, 한국의 대중 수출의 성장세는 꺾지는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2003년은 중국 경제의 급성장과 함께 한국의 중국에 대한 수출이 전년에 비해 47%가량 급등하던 시기였습니다. <br /> <br />사스가 기승을 부렸던 5월 대중 수출 증가율도 연간 최저를 기록하긴 했지만 27.5% 정도였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산업통상자원부는 사스로 인한 중국 수출 차질을 4억 5천만 달러로 추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최근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대중 수출 손실은 아직 정확히 추산되지 않고 있지만 상당한 피해가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[주원 /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: 우리나라에서 중국으로 가는 수출, 특히 지금은 소비재가 영향받을 것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주력 수출품인 중간재도 상당히 영향받을 것입니다.] <br /> <br />한국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 2003년 18.1%에서 지난해 25.1%로 증가했고, 한국의 전체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12.3%에서 21.3%로 늘어나 사스 때보다 광범위한 피해가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[박양수 /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 : 중국에서 공장 가동이 중단되는 사태가 있어 우리의 가공무역 중계무역 수출 부문에서 타격받을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산업계에서는 지난해 일본의 수출 규제로 우리가 소재 부품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했듯, 신종 코로나 사태로 주요 제조업의 중국 의존도를 탈피해야 할 중장기적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병한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20805002236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