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검사 '포화'…전국 음압병실 부족도 우려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연일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으로 방역당국의 검사 역량도 한계에 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과 같은 추세로 확진자가 증가하면 격리치료를 위한 음압병실도 부족할 것으로 보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김장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대구에 사는 모녀가 부산에 있는 고신대병원 선별진료소를 찾아 확진 판정을 받은 건 지난 22일입니다.<br /><br />대구지역 선별진료소에 진단검사를 받으려는 사람들이 크게 몰리자 검사가 늦어질 것을 우려해 부산까지 이동해 검사를 받은 겁니다.<br /><br />대구·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환자가 크게 늘어나면서 이 지역 검사 역량은 벌써 한계에 다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국에서 8,000명이 넘는 사람이 검사를 받는 가운데, 방역당국이 밝힌 하루 최대 검사물량은 7,500건 정도입니다.<br /><br /> "어제와 오늘도 대량의 검사가 진행되고 있어서 늦어도 24시간 이내에는 검사를 완료하는 것으로 검사기관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검사 물량 폭증으로 종전보다 두 배 이상 시간이 걸리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방역당국은 우선 지역 내 선별진료소를 확대하고 공중보건의사를 추가 투입해 검사 물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달 말까지 하루 1만건까지 검사 가능 물량을 늘리고 다음 달에는 전국에 77개인 검사기관도 100개까지 확대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전국에 1,027개인 음압병상도 지금과 같은 추세로 확진자가 계속 늘어난다면 곧 부족해질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 의견입니다.<br /><br />실제 대구·경북 지역의 음압병상 가동률은 100%로 이미 포화상태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이제는 환자를 중증도에 따라 분류해 음압병실뿐 아니라 병원 내 다인실 사용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료계의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