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소아 확진자 관리 어떻게…"기저귀 갈 때도 주의"

2020-03-08 10 Dailymotion

소아 확진자 관리 어떻게…"기저귀 갈 때도 주의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내에서 성인은 물론, 소아와 청소년 코로나19 확진자도 늘고 있죠.<br /><br />환자 관리와 치료 방법도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는데요.<br /><br />의료계에서 관련 지침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소재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현재 국내에서 9살 이하 소아의 코로나19 감염사례는 모두 50건을 넘습니다.<br /><br />10~19살 확진자도 360명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소아·청소년 확진자가 늘자 대한소아감염학회가 관리 지침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경증인 사례가 많다지만 자칫 중증으로 빠르게 발전할 수 있는 만큼, 성인과는 다른 관리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 "미숙아로 태어났을 경우 선천적으로 심질환을 갖고 있을 경우, 여러 가지 이유로 면역부전을 갖고 있는 경우 감염이 일어난 후 중증으로 갈 확률이 많이 있기 때문에"<br /><br />소아의 경우 무증상이거나 경증일 때는 자가격리가 권고되지만, 생후 3개월 미만의 영아나 만성 폐질환 등이 있다면 입원하는 편이 좋습니다.<br /><br />보호자의 존재도 성인 확진자와는 다른 변수입니다.<br /><br />어린이 확진자는 장시간 마스크를 착용하기 어려워 침방울로 바이러스를 퍼뜨릴 가능성이 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러스는 대·소변으로도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 보호자가 아이 기저귀를 갈 때도 주의해야 합니다.<br /><br />감염을 막기 위해 보호자 스스로 마스크와 장갑은 물론, 가운 등 보호구를 철저히 갖춰야 합니다.<br /><br />또, 보호자와 영아 모두 감염됐을 때는 모유 수유가 가능하지만 아이만 감염됐다면 유축된 모유를 먹이는 게 좋습니다.<br /><br />소아감염학회는 소아 감염자를 격리해제할 때는 보호자까지 음성 판정을 받은 뒤에 하는 방안도 권고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. (sojay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