글로벌증시 또 폭락…G7 '공동대응' 합의도 역부족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뉴욕 증시 등 글로벌 증시가 세계 각국의 적극적인 통화 개입에도 불구하고 일제히 폭락했습니다.<br /><br />각국 중앙은행들이 유동성 공급을 대폭 늘리고, 주요 7개국 정상들이 모든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밝혔지만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뉴욕에서 이준서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987년 '블랙먼데이' 이후로 최악의 충격파가 다시 미국 뉴욕증시를 강타했습니다.<br /><br />현지시간 16일 다우지수는 13% 가까이 하락하며 거래를 마쳤고, S&P 500지수와 나스닥지수 역시 12% 안팎 폭락했습니다.<br /><br />뉴욕증시는 개장과 함께 폭락세를 보이며 일시적으로 거래가 중단되는 '서킷 브레이커'가 다시 발동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 두 차례에 이어 이달 들어서만 세 번째 입니다.<br /><br />앞서 마감한 유럽 증시도 영국 증시가 4.1% 떨어졌고, 독일 증시와 프랑스 증시도 5% 이상 하락하며 공포감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를 중심으로 글로벌 중앙은행이 일제히 유동성을 쏟아붓는 정책공조에 나섰지만, 세계적 대유행으로 번진 코로나19의 공포를 막기는 역부족이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을 비롯한 주요 7개국, G7 정상들은 긴급 화상회의를 통해 코로나19 대유행을 '세계적 보건위기'로 규정하고 필요한 모든 조치를 다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G7정상들은 공동성명에서 "강력하게 조율된 국제적 접근법이 필요하다"며 경제적 충격에 대해서도 "통화와 금융 등 모든 범위의 수단을 동원할 것"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아울러 한국을 비롯한 주요 20개국도 이런 노력을 지원하고 확대하길 촉구한다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전문가들은 시장 안정을 되찾기 위해서는 결국 코로나19의 확산세가 진정되는 수밖에 없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뉴욕에서 연합뉴스 이준서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