또 연기에 돌봄도 장기화…학부모 "피로 가중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가 오늘(17일) 유치원과 초중고 개학을 또 연기하자 학부모들은 그 배경을 나름 이해하면서도 동시에 한 숨을 내쉬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긴급돌봄을 이용하려는 맞벌이 부모나 자녀를 직접 돌보는 부모나 걱정이 들기는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한상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추가 개학 연기에 관심이 클 수 밖에 없는 이들은 유치원생과 초등학생을 둔 학부모들입니다.<br /><br />유치원과 학교에서 코로나19의 집단 전파 가능성을 막아보겠다는 취지는 공감하더라도 돌봄 공백을 어떻게든 메워야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연장이 맞다고 생각하는데 정신적 육체적 피로도가 좀 커서 힘드네요. 맞벌이를 하는 친구의 경우 긴급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저는 주부이고 집에서 아이들 케어…"<br /><br />이러한 학부모들의 고민을 감안해 정부는 긴급돌봄 보완책도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 "돌봄 전담 인력 확충, 방역 물품 최우선 제공, 프로그램 확대 제공 등을 더 보완해서 실시하겠습니다"<br /><br />이와 함께 정부는 긴급돌봄 학생을 위한 다양한 이러닝 콘텐츠를 제공하고 교육청과 함께 점심도 지원키로 했습니다.<br /><br />관건은 초등학교 긴급돌봄교실 신청률이 단 2%대에 그치고 있는데, 학부모 신뢰를 받을 수 있는 돌봄 체계로 안착시킬 수 있느냐 여부입니다.<br /><br />긴급돌봄 지원시 안전이 충분히 확보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여전히 돌봄교실의 안전이 그렇게 안심할 정도는 아니라는 우려가 있어요. 개학연장과 동시에 돌봄의 방역 강화라든지 그런 점들은 나름 긍정적으로 보이고"<br /><br />전국적인 개학 연기로 4월 5일까진 집에서 보내야 하는 유치원생과 학생들.<br /><br />학부모 상당수는 또다시 자녀 상황에 맞는 각자 나름의 돌봄 방식을 마련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상용입니다. (gogo213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