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배상 해결'·'독도' 주장 그대로...日 교과서 '우향우' 계속 / YTN

2020-03-24 6 Dailymotion

지난해 일제 강제동원 배상판결을 둘러싸고 한일 갈등이 최악의 국면으로 치달았는데요. <br /> <br />한일 청구권협정으로 배상 문제가 모두 해결됐다는 내용뿐 아니라 독도를 한국이 불법 점거하고 있다는 일본 정부 주장이 내년 중학생 수업에서도 반복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이경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니혼분쿄 출판사가 내놓은 중학교 역사 교과섭니다. <br /> <br />'1965년 체결된 한일 청구권과 경제협력 협정으로 국가와 개인의 배상 문제는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됐다'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강제동원 배상 판결을 놓고 일본 정부가 내놓은 입장과 일치합니다. <br /> <br />이뿐 아니라 독도는 일본 고유의 영토이며 한국이 불법 점유하고 있다는 기존 주장 역시 중학교 교과서 14곳에 그대로 실렸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일본 문부과학성 검정을 통과해 내년부터 중학교 수업에 쓰이게 될 교과서는 3개 과목 17종. <br /> <br />과거사를 부정해 온 아베 정권이 지난 2014년 학습지도요령 해설서를 바꾼 뒤 교육 과정에 일본 정부 입장을 그대로 반영하려는 경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원우 / 동북아역사재단 '국제관계와 역사대화연구소' 소장 : 국제법에 근거한 일본의 정당성과 한국의 불법성을 강조하는 기술이 많아졌습니다. (독도) 불법 점거와 국제사법재판소 제소 거부 등을 부각시키는 거죠. 독도는 일본 위주의 기술 방식이 정착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.] <br /> <br />그동안 위안부 관련 내용은 '마나비샤' 역사 교과서 한 곳에만 실렸지만 이번에 한 곳 더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처음으로 검정을 통과한 야마카와 출판사 교과서에는 전쟁 지역에 위안소를 설치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달라진 점도 있지만, 전쟁 책임을 회피하고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서술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 우리 정부 관계자들의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의 교과서 검정 제도는 민간 출판사가 만든 교재를 교과서로 쓸 수 있는지 검증하는 제도로 지난 1947년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검정을 통과하지 못하면 교과서로 쓸 수 없기 때문에 정부가 교육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습니다. <br /> <br />교과서가 새로 나올 때마다 확인되는 한일 과거사 인식의 현격한 차이. <br /> <br />그 간극을 좁히기 위해 가야 할 길이 여전히 멀어 보입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YTN 이경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32422530567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