나라 빚 1,743조…코로나 탓 올해는 더 걱정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해 경기 침체로 정부가 이를 만회하기 위해 재정을 늘렸죠.<br /><br />그러다 보니 국가부채가 지난해 1,700조원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올해는 코로나19로 세금은 안걷히고 쓸 곳은 많아 곳간 사정이 더 안 좋아질 것으로 보이는데, 뒷감당이 걱정입니다.<br /><br />소재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우리나라의 총세입은 402조원, 총세출은 397조원으로 흑자였습니다.<br /><br />국가자산도 170조원 넘게 늘어 2,300조원에 근접했습니다.<br /><br />나라 곳간 사정이 좋아 보이지만 문제는 따로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국가부채가 1,744조원에 육박한 겁니다.<br /><br />재작년보다 약 60조원 늘어, 역대 최대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수출, 내수 부진 등의 영향으로 적극적으로 재정을 집행하면서 이를 보전하기 위해 국채 발행이 늘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전체 국가의 수입과 지출을 보여주는 통합재정수지는 아직 연금 지급 등이 본격화하지 않아 흑자가 일반적인데도 4년 만에 12조원의 적자를 냈습니다.<br /><br />더 큰 문제는 올해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이미 지난달 11조7,000억원의 1차 추가경정예산이 국회를 통과한데 이어 긴급재난지원금용 2차 추경 7조원도 준비 중입니다.<br /><br />1차 추경 대부분이 적자 국채 발행으로 충당된 상황.<br /><br />2차 추경은 다른 부문 세출을 깎아 마련한다지만, 일부는 적자 국채가 불가피하고 올해는 세수까지 기대할 수 없어 결국 나라 곳간 사정은 악화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 "경기가 침체된 가운데 세입은 증가하지 않고 세출이 증가해서 전체적인 재정건전성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고요. 장기적인 국가재정 건전성에 문제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보입니다."<br /><br />한편,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도 38.1%로 40%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. (sojay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