노동절, 1886년 5월 1일 미국 총파업에서 유래 <br />박정희 정권, ’노동절’→’근로자의 날’로 변경 <br />보수 정권, 이념적 논리 따라 ’근로자’ 주로 사용 <br />문재인 정권 등 진보 정권, ’노동자’ 주로 사용<br /><br /> <br />5월 1일은 '노동절'일까요? '근로자의 날'일까요? <br /> <br />정식 명칭은 여전히 '근로자의 날'입니다. <br /> <br />수동적 의미의 근로자가 아닌 능동적 의미인 노동자로 바꿔야 한다는 사회적 목소리가 높아 법안까지 발의됐는데, 제대로 된 논의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대근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[대한뉴스 ('59년 3월 17일) : 우리나라에서 이날(3월 10일)을 노동절로 제정한 후에 첫 번째 노동절 기념대회가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 주최로 서울운동장에서 성대히 베풀어졌습니다.] <br /> <br />노동절은 지난 1886년 5월 1일 미국에서 일어난 총파업을 기념해 노동자들의 권리를 기억하자고 만든 날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에서도 노동절로 불리다가 1963년 박정희 정권 때 근로자의 날로 바뀌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에서 자주는 쓰는 노동이란 단어에 대한 거부감이 반영된 이념적 논리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후 보수 정권에서는 줄곧 근로자란 말을 써왔습니다. <br /> <br />[박근혜 / 전 대통령 ('15년 6월 29일 수석비서관회의) : 내수 침체 극복을 위해서 향후 3~4개월이 매우 중요한 시기인 만큼, 국민·기업·근로자 등 모든 경제 주체들이 한마음으로 노력해 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.] <br /> <br />반면 문재인 정권을 비롯한 진보 정권은 노동자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합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 ('17년 5월 12일 인천공항공사 간담회) : 우리나라 노동자들 상당수가 비정규직으로 고용 불안, 열악한 노동 환경에 처해 있습니다. 우선 공공부문부터 임기 내에 비정규직 제로 시대를 열겠다고 약속을 드리겠습니다.] <br /> <br />근로자는 '부지런히 일하는 사람'이라는 뜻으로 사업장에서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을 의미하고, <br /> <br />'움직여 일하는 사람'이라는 뜻의 '노동자'는 노동력을 판매해 얻은 임금으로 생활을 유지하는 사람을 가리킵니다. <br /> <br />쉽게 말해 근로는 수동적, 노동은 능동적인 의미입니다. <br /> <br />사전적 의미는 이렇고, 근로는 일제 강점기 때 강제 노역에 동원된 '근로정신대'를 연상시키기도 하고 박정희 정권 때 희생을 강요하는 의미도 담겨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념의 잣대를 걷어내고 노동자라는 표현을 쓰자는 목소리가 높지만 헌법은 물론 심지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50119150683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