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정지웅 앵커, 신지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홍성욱 /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고성 산불이 12시간 만에 큰불이 진화됐습니다. 잔불 정리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데요. 다행히 불길이 강풍을 타고 더 크게 번지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자세한 상황 취재기자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. 홍성욱 기자 나와 있습니다. 안녕하십니까. 날이 밝으면서 산림당국이 헬기를 38대를 투입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본격적인 진화작업이 시작이 된 건데요. 진화가 주불은 거의 다 완료가 됐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아직 완벽하게 모든 불길을 다 잡은 것은 아닙니다. 큰 불길을 완전히 잡은 건데요. 이제 잔불정리작업이 남아있습니다. <br /> <br />산림당국은 오전 8시를 기준해서 주불을 모두 진화했다고 밝혔습니다. 날이 밝자마자 산불진화헬기를 투입한 게 효과가 컸는데요. <br /> <br />오전 5시 반부터, 그러니까 일출 시간부터, 해가 뜨기 시작부터 헬기를 투입했는데 바람도 많이 잦아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오전 7시 기준 85%의 진화율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고 그리고 조금 전인 오전 8시 큰 불길을 모두 잡았습니다. 큰 변수가 없다면 오전 중 불길을 모두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잔불 진화까지 오전 중에 모두 마무리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렇게 산불을 완전히 진화하는 데 방금 말씀하신 것처럼 큰 변수가 없다면 완전히 잔불까지 정리가 될 수 있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남아 있는 작은 변수들은 어떤 게 있을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변수는 역시 바람과 두껍게 쌓인 낙엽으로 볼 수가 있습니다. 과거에도 강원도에서 발생한 산불 취재를 많이 경험을 해봤는데 바람을 타고 수십 미터, 수백 미터를 불꽃이 날아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어느 한 곳에서 산불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산발적으로 산 곳곳에서 산불이 발생합니다. 다행히 기상청 예보에도 오전 중에 다시 강풍이 불 것이라는 예보는 없습니다. <br /> <br />봄철 산불이 안심할 수 없는 또 다른 이유가 앞서 말씀드린 대로 두껍게 쌓인 낙엽인데요. 과거에도 산불진화헬기가 물을 아무리 쏟아부어도 바람이 한번 불면 다시 연기가 피어오르는 모습을 확인을 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낙엽 밑에 작은 불씨가 살아있다면 언제든지 불길이 다시 살아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. 산림당국과 소방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50208025748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