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 백신 연내개발 난제…렘데시비르 ’희망의 신호’ 부상 <br />美 FDA, 지난 1일 ’렘데시비르’ 긴급 사용 승인 <br />길리어드 사이언스사, 12월에 100만 명 분량 제조 계획 <br />세계보건기구, 렘데시비르 임상시험 결과 환영…기대감 표출<br /><br /> <br />세계보건기구, WHO는 코로나19 치료제로 급부상하고 있는 렘데시비르에 대해 기대감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렘데시비르의 긴급 사용과 관련해 빠르면 내일이라도 긴급 사용 승인을 내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박철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지만 백신의 연내 개발은 쉽지 않다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상황에서 최근 코로나19 환자들에게 '희망의 신호'가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에볼라 출혈열 치료를 목적으로 연구돼 온 '렘데시비르'가 바로 그것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 식품의약국, FDA는 지난 1일 코로나19 중증환자에 대한 긴급사용을 승인했습니다 <br /> <br />환자 1명당 10일간 투여를 상정했을 때 14만 명분을 재고로 가지고 있었던 개발사는 이후 의료기관에 차례로 나누어주었습니다. <br /> <br />필요하다면 오는 10월에 50만 명분, 12월에 100만 명분을 만들어낼 계획이라는 것이 개발사의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세계보건기구, WHO는 렘데시비르의 임상시험 결과를 환영하면서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마이클 라이언 / WHO 수석디렉터 긴급보건프로그램 : 최근 임상시험의 데이터를 환영합니다. 미국서 행한 무작위 임상시험이고 약의 잠재적 사용에 희망의 신호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다만 문제는 현재 어느 정도의 재고가 있고, 치료제가 필요한 나라에 당장 충분하게 공급할 수 있을지가 과제라는 견해가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이 길어질 것이라는 전제 아래 WHO의 수장은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전 세계가 힘을 모으자고 역설했습니다. <br /> <br />[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/ WHO 사무총장 : 이 바이러스가 장시간 우리 곁에 머물 것이기 때문에 힘을 모아 바이러스 퇴치 도구를 개발·공유할 필요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코로나19 대책에 갈피를 못 잡으면서 질타를 받고 있는 일본 정부가 치료제인 렘데시비르에 대해 빠르면 내일(7일)이라도 긴급사용 승인을 내줄 뜻을 내비쳤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철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50605381390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