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제사회 '이태원발 확산' 주시…"고된 정상화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등 해외 언론들은 코로나19 대응의 성공적 모델로 평가받던 한국에서 이태원발 집단 감염이 발생한 데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의 이번 사례는 일상 복귀가 얼마나 힘든 일인지를 시사하는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윤석이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상화에 속도를 내던 한국에서 서울 이태원 클럽을 중심으로 집단 감염 사례가 발생한 데 외신들은 주목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블룸버그 통신은 "이번 확산은 전염병 억제에 성공적인 한국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"며 "2차 확산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"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AFP통신은 "대규모 추적과 검사 덕분에 한국은 발병을 통제한 것처럼 보였다"며 "새로운 감염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는 시점에서 발생했다"고 짚었습니다.<br /><br />CNN방송은 한국과 함께 발병 억제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는 중국, 독일 사례를 소개하며 "너무 일찍 제한을 완화하는 것에 대한 위험성을 보여주는 교훈"이라고 진단했습니다.<br /><br />세계보건기구, WHO는 "한국이 대응할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"고 평가하면서도 "봉쇄 조치를 천천히 해제해야 한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 "생명과 생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서서히, 꾸준히 봉쇄를 완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<br /><br />감염 확산의 통로가 된 '성소수자'에 대한 한국내 인식이 '부정적'이라는 점에서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포스트는 "한국에서 동성애가 불법은 아니지만, 법적인 보호를 거의 받지 못한다"며 "이런 상황이 당국의 접촉자 추적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"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AFP통신은 "동성애자를 둘러싼 사회적 낙인 때문에 나서기를 꺼리는 것으로 보인다"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주요 언론들은 갑작스러운 발병 증가는 한국 정부의 자신감에 타격을 줬다고 평가하면서 코로나19 사태에서 정상으로 복귀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를 보여준다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윤석이 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