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 '화웨이 제재' 연장…미·중 무역갈등 다시 고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통신장비업체 '화웨이'에 대한 사실상의 제재를 1년 더 연장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의 책임론 공방에 이어 미·중 간 무역갈등이 재점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윤석이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현지시간으로 13일 중국 통신장비 업체 등에 대한 미국 진출을 불허하는 행정명령을 1년 더 연장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의 5세대 통신 장비업체 화웨이를 비롯해 통신업체 ZTE가 주요 대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윗을 통해 "미-중간 이른바 1단계 무역합의의 잉크도 마르지 않았다"며 "세계는 중국에서 온 전염병에 의해 타격을 받았다"고 중국을 또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의 대표적 통신업체 화웨이에 대한 제재를 지렛대로 삼아 1단계 무역합의의 이행을 더욱 압박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 "중국과 관련해 좋은 상태가 아닙니다. 그들은 이것(코로나19)을 발원지에서 멈추도록 했어야 합니다. 발원지에서 바로 멈추도록 할 수 있었습니다."<br /><br />미 연방수사국, FBI와 국토안보부는 이날 "중국과 연계된 해커들이 코로나19 연구와 관련된 자료를 불법으로 획득하려는 시도가 목격됐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"의료와 제약 등 코로나19 대응 작업을 수행하는 모든 조직은 중국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해커의 신원이나 침입 대상 기관, 해킹이 성공했는지 여부는 공개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코로나19의 중국 책임론을 주장하며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비롯해 무역합의 파기 가능성 등 발언의 수위를 높여왔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윤석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