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른바 '후원금 논란'으로 촉발된 정의기억연대와 이용수 할머니 사이에 진실 공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양쪽 모두 진실이 밝혀져야 한다면서도, 29년 동안 활동해 온 역사만큼은 폄훼돼서는 안 된다는 점에는 동의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박희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3일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천 439번째 수요집회. <br /> <br />이용수 할머니와 윤미향 전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은 모습을 보이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집회를 주최하는 정의기억연대와 이 할머니 사이에 갈등이 촉발된 건 '후원금 사용처' 문제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 할머니가 기부금이 위안부 피해자에게 제대로 쓰이지 않았다며 수요집회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용수 할머니 /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(지난 7일) :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더우나 추우나 꼭꼭 수요일마다 데모(집회)를 갔습니다. 그런 분들이 십시일반으로 돈을 내지 않습니까. 그 돈을 어디에다 씁니까.] <br /> <br />이에 대해 정의연은 최근 3년 동안 받은 기부 수입 22억 원 가운데 40% 넘게 피해자 지원에 써왔다고 반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소송지원을 비롯해 국제 사업 등에 큰 비용이 들어갔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서 제기된 후원금 불법 유용이나 횡령 사실에 대해서는 명확히 선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나영 / 정의기억연대 이사장 : 다수의 공인회계사에게 기부금 사용 내역에 대해 검증받도록 하겠습니다. 정의연은 기부금 사용에 있어 불법적인 유용이나 횡령이 없음을 다시 한 번 명확히 말씀드립니다.] <br /> <br />5년 전 한일 위안부 합의안을 윤미향 전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이 정부 발표 전부터 알고도 침묵했다는 의혹을 둘러싸고도 진실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할머니는 당시 윤 전 이사장이 피해 할머니들에게 알리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, 윤 전 이사장은 정부가 전해준 내용에는 불가역적 해결이나 소녀상 철거 등 핵심적이고 민감한 부분은 빠져 있었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여야 국회의원들까지 가세하면서 공방은 정치권으로까지 번졌고, 횡령 의혹에 대한 일부 시민단체의 고발도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9년 동안 일본 정부를 상대로 연대해왔던 이용수 할머니와 정의연 사이에 촉발된 '기억 공방'. <br /> <br />다만 이 할머니와 정의연 모두 그동안 연대 활동한 역사 자체가 폄훼돼서는 안 되고, 소모적인 논쟁으로 변질시켜서도 안 된다는 점에서는 같은 목소리입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51622421352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