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 대통령 "5·18 '先고백 後용서'는 남아공 모델 염두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은 40돌을 맞은 5·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국가폭력 가해자들을 향해 진실을 고백하면 용서와 화해의 길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는데요.<br /><br />문 대통령은 국민 앞에 범죄를 고백한 가해자를 사면해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'진실과 화해위원회' 모델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강영두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5·18민주화운동이 40돌을 맞았지만 온전한 진상규명은 아직도 멀기만 합니다.<br /><br />최초 발포 명령 책임자, 인권 유린과 암매장 의혹, 헬기 소총 사격의 경위와 진상 등이 여전히 베일에 가려 있습니다.<br /><br />벌써 강산이 4번이나 바뀌었지만, 국가폭력 가해자들이 전혀 입을 열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5·18에 대한 폄훼와 왜곡이 되풀이되는 것도 이런 탓입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이 5·18 40주년 기념사에서 국가폭력 가해자들에게 용서와 화해의 메시지를 보낸 것은 앙다문 이들의 입을 열게끔 하려는 차원입니다.<br /><br />만약 진실을 밝히는데 협조한다면 사면 가능성을 내비친 겁니다.<br /><br /> "처벌이 목적이 아닙니다. 역사를 올바로 기록하는 일입니다. 이제라도 용기를 내어 진실을 고백한다면, 오히려 용서와 화해의 길이 열릴 것입니다."<br /><br />문 대통령은 진실고백, 용서, 화해 프로세스 구상은 1990년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진실화해위원회 모델로 한 것이라고 밝혔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남아공의 진실화해위는 1960년대부터 이어진 인종차별정책에 따른 국가 범죄, 인권 침해와 관련해 7,512명을 조사했습니다.<br /><br />이중 상당수가 처벌받았지만 조사 대상자 중 849명은 사면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5·18 진상규명은 더는 미룰 수 없는 중대한 과제입니다.<br /><br />문 대통령의 화해와 용서 프로세스가 국가폭력 가해자들이 자신들에게 부여된 역사적 과제를 풀 마지막 기회가 될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영두입니다. (k0279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