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가 530만 명에 근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세계보건기구 WHO는 남미가 팬데믹의 새로운 진원지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조수현 기자! <br /> <br />전 세계 코로나19 확산 현황 자세히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 시각 현재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는 529만8천여 명, 사망자는 33만9천여 명으로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 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의 실시간 집계인데요. <br /> <br />미국의 확진자가 164만여 명으로 가장 많습니다. <br /> <br />이제 브라질이 33만여 명으로, 32만6천여 명의 러시아를 넘어 확진자가 두 번째로 많은 국가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브라질에서는 지난 이틀 동안 하루 신규 확진자가 2만 명을 오르내렸는데요. <br /> <br />페루, 칠레, 멕시코 등 중남미 지역에서 전반적으로 가파른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중남미 30여 개국의 누적 확진자는 65만여 명으로, 전 세계 12%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남미는 코로나19가 가장 늦게 도달한 대륙이지만, 열악한 의료 체계와 높은 빈곤층 비율, 경제난과 정계 혼란 등으로 상황이 급격히 악화하는 양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최근 상황에 대해 세계보건기구는 우려스런 진단을 내놓았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세계보건기구, WHO는 남미가 팬데믹, 즉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의 새로운 진원지가 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마이클 라이언 WHO 긴급준비대응 사무차장이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말한 내용인데요. <br /> <br />라이언 사무차장은 최근 많은 남미 국가에서 확진 사례가 급증하는 추세라며 이같이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피해가 가장 큰 브라질 당국이 코로나19 치료제로 말라리아 치료제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의 사용을 허가한 데 주목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, 코로나19에 대한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의 효과가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라이언 사무차장은 또 의료 시설과 장비가 턱없이 부족한 아프리카도 확산세가 여전히 우려되는 지역으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주 아프리카의 9개 나라에서 확진자가 50% 증가했다며, 만 현재 사망률이 낮은 것은 인구 절반 이하가 18세 이하이기 때문일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국제부에서 YTN 조수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52310023730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