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야, 원 구성 협상 위한 원내수석부대표 첫 회동 <br />핵심 쟁점은 ’법사위·예결위’ 위원장 <br />다음 달 8일까지 구성…26일 원내대표 만나 논의<br /><br /> <br />21대 국회 임기 시작을 엿새 앞두고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들이 원 구성 협상을 위한 첫 회동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법정 시한 안에 원 구성을 마쳐야 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는데 핵심 상임위원장직, 특히 법사위와 예결위원장 자리를 두고 여야 간 치열한 줄다리기가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나연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휴일 오후,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들이 21대 국회 원 구성 협상을 위해 만났습니다. <br /> <br />국회 상임위원회 구성과 교섭단체별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를 논의하는 자리. <br /> <br />신속하고 원만한 협상을 다짐하며 힘껏 악수했지만, 벌써 미묘한 신경전이 감지됩니다. <br /> <br />[김영진 / 더불어민주당 원내총괄수석부대표 : 얼마 전에 미래통합당 워크숍에서 결의문을 채택했듯이 과거에 익숙했던 관행으로부터 우리가 탈피하고 정말 21대에는 일하는 국회를 여야가 같이….] <br /> <br />[김성원 / 미래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 : 일 잘하는 국회라고 하는 것은 행정부가 가진 입법과 예산에 대해서 여야 협치해서 잘하라는 의미로 알아듣고….] <br /> <br />최대 쟁점은 핵심 상임위원회로 꼽히는 법제사법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자리입니다. <br /> <br />20대 국회에서는 관례에 따라 야당 몫으로 돌아갔지만, 21대 국회 177석을 확보한 민주당은 민주주의 절차에 따른 민의를 반영할 수 있도록 상임위원회 구성을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자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상임위를 통과한 법안들의 최종 관문이 되는 법사위의 경우, 위원장직과 별개로 법사위 체계·자구 심사권 폐지까지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통합당은 정부를 견제하고 감시하기 위해 법사위와 예결위원장만큼은 야당이 사수해야 한다는 각오입니다. <br /> <br />[주호영 / 미래통합당 원내대표 : 더구나 180석 가까운 의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원장을 야당이 맡는다고 하더라도 민주당이 국회에서 의사결정 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을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국회법에 따라 국회의장단은 다음 달 5일, 상임위원회는 그로부터 3일 이내인 8일까지는 구성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원내수석부대표 간 회동에서 입장 차를 확인하고 서로 '통 큰 배려'를 요청한 여야는, 오는 26일 원내대표 간 첫 회동에서 구체적인 협상을 이어갈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나연수[ysna@ytn.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52419081541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