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내한한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은 지금 한국이 유일하게 공연을 할 수 있는 나라라며 K방역이 자랑스럽다는 말을 남기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집단 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IT 기술을 방역에 접목한 시도가 이어지는 가운데 공연장에서도 처음으로 QR코드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홍상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공연장 입구에서 스마트폰으로 배너에 있는 QR코드를 촬영합니다. <br /> <br />본인 인증 화면을 터치하면 간단한 문진표 작성 화면이 나오고, 카카오톡으로 문자를 받으면 모든 절차가 끝납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다음 달부터 클럽이나 노래방에 QR코드 방문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한 가운데 공연계에서도 처음으로 QR코드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소 생소하고 번거롭지만 관객들의 반응은 긍정적인 편입니다. <br /> <br />[이재윤 / 관객 : 제가 감염자일 수도 있잖아요. 그런 것에 대비해서 이런 것들에 대해 동선도 파악할 수 있을테고 해서 괜찮은 거 같습니다.] <br /> <br />[김명숙(61살) / 관객 : 여러 가지 찍고 쓰고 해야 되는게 또 안경을 쓰고 해야 되잖아요 그래서 좀 불편하네요. 낯설지만 한번 해 놓으면 편하다고 하니까 변화에 우리가 또 적응해야겠죠.] <br /> <br />QR코드 인증방식을 통하면 방문자의 이름과 연락처, 출입시간 정보가 서버에 저장되는데 2주 뒤엔 자동 폐기됩니다. <br /> <br />[이선아/ 마포아트센터 공연전시팀장 : 수집한 개인정보는 공연장 관계자들이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안전하게 보관되었다가 유사시에 관계 당국에만 제공됩니다.] <br /> <br />코로나19 사태 이후 국공립극장과 민간공연장에서는 자체적으로 종이 문진표를 작성해 운영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범위가 제각각인 데다 문진표 작성으로 오히려 관객이 몰리는 현상이 일어나면서 논란이 이어져 왔습니다. <br /> <br />마포아트센터에 이어 고양문화재단도 QR코드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국공립 극장을 중심으로 공연계의 QR코드 인증 시스템이 확산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홍상희[sa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0052717344781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