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와대는 트럼프 대통령이 G11(일레븐) 체제를 거론하며 우리나라를 초대한 것에 대해 세계 질서를 이끄는 리더가 된다는 의미라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이 반발할 수 있다는 우려에는 가능성을 일축하면서, 외교 선도국으로서 역할을 확대하겠다는 기대를 표현했습니다. <br /> <br />차정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19 국제 공조를 위한 G20과 아세안+3 화상 정상회의를 이끌고, WHO 보건총회 기조연설까지 나선 문재인 대통령. <br /> <br />이번에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화를 걸어 주요 11개국, G11 가입을 제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G7의 낡은 체제가 국제 정세를 반영 못 한다면서 G11이나 G12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에 대한 문 대통령의 생각을 물었습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기꺼이 응하겠다며 방역과 경제 양면에서 한국의 역할을 하겠다고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[강민석 / 청와대 대변인 : G7 체제의 전환에 공감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호주, 인도, 러시아 등 4개국을 초청한 것은 적절한 조치였다고 답했습니다.]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G11은 기존 주요 7개국에 우리나라와 호주, 러시아와 인도까지 포함하는 회의체로 중국은 빠져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홍콩 국가보안법 문제와 코로나19 확산 책임 문제로 미·중 갈등이 심화하면서 우리 입장이 곤란해질 수 있다는 관측도 있었지만, 문 대통령은 주저 없이 수락한 겁니다. <br /> <br />G11 가입이 성사된다면 우리가 코로나 19 방역뿐만 아니라 세계 질서를 이끄는 선도 국가가 되는 기회라는 인식에섭니다. <br /> <br />[강민석 / 청와대 대변인 : 우리나라가 세계의 질서를 이끄는 리더 국가 중 하나가 된다는 의미입니다. 우리나라의 국격 상승과 국익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연내 시진핑 주석의 방한 추진에 악영향이 있을 거라는 우려에 대해서도 청와대는 중국이 반발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, 실제로도 반발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중국 사이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며 줄타기 외교를 하기보다는 우리의 전략적 가치가 상승한 만큼 국제사회에서 적극적 역할 하겠다는 자세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실제 G11 정상회의의 성사 여부는 아직 장담할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11월 대선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제안인 데다, 우리 정부에 대한 일본의 견제 등 기존 G7 국가의 입장도 변수입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G11 출범을 '포스트 코로나 시대'의 이정표로 표현했습니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60219374409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