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요 7개국, G7을 확대 개편해 중국을 고립시키려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구상에 유럽연합이 제동을 걸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러시아는 중국도 참여시켜야 한다고 요구하고 나서 G7 체제 개편에 난항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이교준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G7 정상회의체를 재편하려는 트럼프 미 대통령의 구상에 유럽연합이 부정적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올해 G7 정상회의에 러시아를 초청한 데 대해 불편한 기색이 역력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럽연합(EU) 대외정책을 총괄하는 호세프 보렐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는 G7에 러시아가 다시 합류하도록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못을 박았습니다. <br /> <br />[호세프 보렐 / 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 : 러시아가 방향을 바꾸고 G8이 의미 있는 논의를 다시 할 수 있는 상황이 조성될 때까지 러시아의 복귀를 허용해서는 안 됩니다.] <br /> <br />러시아는 지난 2014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강제합병 이후 주요 8개국, G8에서 제외됐습니다. <br /> <br />보렐 EU 고위대표는 나아가 올해 G7 의장국인 미국의 권한에 분명히 선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[호세프 보렐 / 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 : 비회원국 초청에 의장국의 우선순위를 반영할 수 있지만 회원국을 바꾸고, 영구적으로 체제를 바꾸는 것은 G7 의장국의 특권이 아닙니다.] <br /> <br />G7 체제를 바꾸려면 기존 회원국들의 만장일치 동의가 필요한데 영국과 캐나다에 이어 유럽연합도 반대하고 나서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은 초반부터 벽에 부딪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러시아마저 이견을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"중국의 참여 없이는 전 지구적으로 의미 있는 중요한 구상들을 이행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"며 중국까지 포함한 G20가 더 효율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G7의 확대 개편에 동의하면서도 중국을 고립시키려는 움직임에는 난색을 표시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이 G7의 영구적 확대가 아닌 일회성 확대를 시사한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교준[kyoj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60304401761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