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반짝 부활' 중국 노점상 제동 걸리나…시진핑-리커창 갈등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리커창 중국 총리가 노점상이 하룻밤 사이에 10만명의 일자리를 해결했다고 예찬론을 편 뒤 중국 지자체들은 이례적으로 노점 영업을 장려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최근 들어 중국 당국이 여기에 제동을 걸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시진핑 국가주석과 리 총리의 갈등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이봉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리커창 중국 총리는 최근 전국인민대표대회 폐막 기자회견에서 노점상 경제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국가 경제가 급성장했지만 중국인 상당수는 여전히 빈곤 상태에 놓여있는 가운데, 거리에 노점이 늘어나면 코로나19 사태로 가뜩이나 침체된 경제에 활력을 줄 수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중국의 약 6천만명은 여전히 기초생활수당으로 생활하고 있으며, 빈곤에 처한 사람들을 위한 실업수당이나 보조금 등도 받습니다."<br /><br />이후 리 총리가 산둥성 옌타이시의 노점까지 찾아가자 중국 곳곳에서는 노점상 바람이 불었습니다.<br /><br />일부 도시는 임시로 노점을 합법화했는데, 단속요원들이 폭력을 동원해 쫓아냈던 과거와 비교하면 노점 상인들이 격세지감을 느끼기에 충분했습니다.<br /><br />증시에서는 노점상 테마주가 형성돼 주가 급등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갑작스런 노점상 경제 열풍에 제동이 걸릴 조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공산당 중앙선전부는 주요 관영 매체에 '노점상 경제'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말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 중문판이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실제로 중국 관영 매체에는 최근 "노점상 경제는 만능 처방이 아니다", "수도인 베이징에 맞지 않는다" 등의 글이 등장했습니다.<br /><br />이면에는 시진핑 국가주석과 리 총리 사이의 갈등이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특히 내년까지 모든 인민이 풍족한 생활을 누리는 '샤오캉 사회' 건설을 목표로 내건 시 주석이 리 총리가 공개적으로 중국의 빈곤 문제를 거론한 것을 괘씸하게 여겼다는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봉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