남북연락사무소 일시 불통…정부 "의도예단 어려워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남북 연락사무소가 북측의 통화 거부로 잠시 불통 사태를 빚었습니다.<br /><br />다행히 소통은 재개됐지만, 북측의 '돌발행동'에 당국은 긴장감을 늦추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서혜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남북연락사무소는 판문점 선언에 따라 2018년 9월 개성에 설치됐습니다.<br /><br />올해 1월 코로나19로 남측 인원이 돌아오면서 대면 운영은 못했지만, 남북은 아침 저녁으로 통화를 하며 계속 소통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연락이 갑자기 끊겼습니다.<br /><br /> "오늘 오전 연락사무소는 예정대로 북한과 통화 연결을 시도했지만, 현재 북측이 받지 않고 있습니다. 지금까지 북측이 통화 연결 시도에 전화를 받지 않은 적은 없었습니다."<br /><br />이를 두고 북한이 대남 압박을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탈북민 전단을 문제 삼으며 남북 군사합의 파기와 연락사무소 폐쇄 등을 거론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게다가 남측을 향한 비난도 계속됐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북한에서 전단살포 항의 집회가 연일 열렸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의 최고 존엄에 대한 모독이자 전체 인민들과 청년들에 대한 모독이라고 하면서…"<br /><br />다만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의 당 정치국 회의에선 대남 이슈는 언급하지 않고 민생만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남북 군 통신선도 정상 가동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다행히 연락사무소 불통 사태는 8시간 만에 해소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북측은 오전에 왜 전화에 불응했는지 따로 설명하지 않았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정부도 북한의 의도를 예단하기 어렵다며, 신중한 태도로 향후 추이를 주시하겠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. (hrseo@yna.co,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