남북 통신선 불통 지속…정부 "북한 일방적 차단에 무게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주 금요일부터 시작된 남북 통신선 '불통' 상황이 이번 주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남북 간 정기 통화가 계속 안 되는 배경을 두고 정부는 북한의 일방적 차단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주 금요일부터 우리 측 정기 통화 요청에 응답하지 않던 북한이 이번 주 들어서도 여전히 전화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통일부는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하고 매일 오전과 오후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직통전화로 북측과 정기 통화를 진행해 왔습니다.<br /><br />군에서 운영하는 동·서해 통신선은 주말에도 운영됐습니다.<br /><br />이번처럼 연락사무소와 군 채널의 동시 '불통'은 북한이 2021년 10월 초 남북 통신선을 마지막으로 복원한 이후 1년 6개월 만입니다.<br /><br /> "주말 사이에 북측은 군 통신선에 응답하지 않았고, 오늘 아침에는 연락사무소와 군 통신선 통화에 응답하지 않았습니다. 일단 북측의 일방적 차단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통일부는 "상황을 지켜보면서 대응 방안을 검토해 나갈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과거에도 대북전단 살포나 한미연합훈련 등에 발끈해 남북 통신선을 일방적으로 차단했다가 자신들이 내킬 때 복원하는 행태를 반복해왔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이번 통신선 차단 배경을 두고도 여러 해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우선 지난달에 열린 대규모 한미연합훈련과 이달 초까지 이어진 미국 전략자산의 잇따른 한반도 전개에 대한 반발이라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최근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채택한 북한인권결의안에 우리 정부가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한 것이나 정부 차원의 첫 북한인권보고서 공개 발간 등도 배경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남북 통신선 불통 하루 전 통일부가 개성공단 자산 무단 사용을 중단하라는 내용의 통지문을 보내려다 북측 수령 거부로 불발됐는데, 이 사안도 북한 당국의 반발을 불렀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