폭염 속 전신 방호복 대신 가운…의료진 반응은?<br /><br /><br />30도를 웃도는 초여름 더위가 이어지면서 야외 선별진료소에서 근무하는 의료진이 코로나19에 이어 무더위와 사투를 벌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의료진들이 탈진하는 일까지 생기면서 건강이 걱정인데요.<br /><br />현장 상황 직접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대구 남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근무하는 유명지 간호사와 전화 연결돼있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 대프리카로 유명한 대구에선 붙볕 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가만히만 있어도 더운 날씨인데, 방호복 내부 체감온도는 40도까지도 오른다고 들었어요. 실제 방호복을 착용하고 근무하면 어떤가요?<br /><br /> 현재 선별진료소에서 일하는 의료진들 '레벨D 방호복'을 입는데, 이게 어떤 보호복인가요?<br /><br /> 아이스 조끼를 입고 근무하신다고 하셨는데요. 다른 의료진들은 아이스팩을 넣는 등 다들 나름대로의 방책이 있는 것 같습니다. 아이스 조끼만으로 더위가 해결될 것 같지는 않은데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선별진료소에 따로 냉방기가 설치돼 있다든지 근무조건이 지역마다 좀 다를 수 있는데 유명지 간호사께서 계신 곳은 냉방기 설치가 잘 돼 있습니까?<br /><br /> 아이스팩이 녹고 나면 또 다른 걸로 갈아 끼워야 되지 않습니까?<br /><br /> 더위 외에 가장 힘든점은 무엇인가요? 물을 쉽게 먹지 못하거나, 화장실 다녀오기도 힘들것 같은데요.<br /><br /> 정부가 무더위에 노출된 의료진을 위해 에어컨 설치 등을 지원하기로 했고, 전신 가운을 포함한 4종 세트 사용을 권고 했습니다. 레벨D 방호복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, 이런 부분이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이런 지원에 대해서 의료진들 내부에서의 분위기는 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에어컨을 켜면 아무래도 감염 위험도가 높아질까 봐 켜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라고 들었거든요. 실제로 그렇습니까?<br /><br /> 더위도 더위지만 더 큰 걱정은 곧 이어질 장마철입니다. 방호복이 습기에 약하다고 하죠? 이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을 것 같은데, 의료진들의 분위기는 좀 어떤가요?<br /><br />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지 어느덧 5개월입니다. 무더위로 인한 체력적 어려움만큼이나 의료진을 괴롭히는 정신적 피로도 상당할 것 같은데요. 어떻게 극복해 나갈 계획이신가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