싱가포르회담 2년…북미, 다시 긴장모드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내일(12일)이면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이 2주년을 맞습니다.<br /><br />역사상 처음 북미 정상이 손을 맞잡은 기념비적인 날이지만, 남북은 단절됐고, 북미 간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서혜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018년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.<br /><br />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악수할 때 한반도에 새 시대가 열리는 듯 했습니다.<br /><br /> "그릇된 편견과 관행들이 때로는 우리 눈과 귀를 가리고 있었는데, 모든 것을 이겨내고 이 자리까지 왔습니다."<br /><br /> "미국 대통령과 북한 지도자의 전례없는 첫 만남은 실제 변화가 정말로 가능하다는 점을 증명합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지난해 2월 하노이 2차 정상회담이 '노딜'로 끝나면서 비핵화 협상은 계속 헛바퀴를 돌렸습니다.<br /><br />당장의 전망도 밝지 않습니다.<br /><br />김정은 위원장은 국방력 강화를 강조하며 압박에 중점을 두고 있고, 트럼프 대통령 역시 11월 대선이 급해 협상을 돌아볼 틈이 없습니다.<br /><br />북미 간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 국무부가 북한의 남북채널 차단에 '실망'이라고 하자, 북한은 "제 집 정돈이나 먼저하라"고 받아쳤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양측 모두 '경고장' 이상으로 나아가진 않으며 수위를 조절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도 일단 상황 관리에 주력하는 분위깁니다.<br /><br /> "외교부는 한반도 상황 관련해서 미 측하고 긴밀히 각급의 소통을 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북한이 탈북민 전단을 문제 삼으며 대남압박을 최고조로 끌어올린 가운데, 북미 관계 역시 아슬아슬합니다.<br /><br />연말까지는 신경전만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, 북한이 미 대선판을 흔들려는 의도로 도발할 수 있단 우려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. (hrseo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