첫 북미정상회담…새 북미 관계·완전한 비핵화 합의 <br />북미정상 2번째 만남인 하노이회담 ’노딜’로 그쳐 <br />北 "희망이 절망으로 바뀌어"…대미 압박 고조<br /><br /> <br />북한이 북미 정상회담 2주년을 맞아 내놓은 대미 담화는 경색된 북미 관계 현주소를 그대로 보여줍니다. <br /> <br />북미가 체제안전보장과 비핵화라는 목표로 시작한 비핵화 대화는 제자리를 맴돌고 있는데, 11월 미국 대선까지 대화 재개의 계기가 만들어질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장아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처음으로 손잡은 북미 정상. <br /> <br />2년 전 싱가포르 회담은 '세기의 핵 담판', '70년 적대관계 청산의 신호탄'으로 불렸습니다. <br /> <br />[김정은 / 북한 국무위원장 (지난 2018년 6월 12일) : 우리 발목을 잡는 과거가 있고, 또 그릇된 편견과 관행들이 때로는 우리 눈과 귀를 가리기도 했는데 우리는 모든 것을 이겨내고 이 자리까지 왔습니다.]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지난 2018년 6월 12일) : 아주 적절한 시기에 평양을 방문할 겁니다. 김정은 위원장도 적절한 시기에 백악관에 초청할 거고요.] <br /> <br />종전선언이 머지않은 것 같았지만, 8개월여 뒤 다시금 톱다운 방식으로 열린 북미회담은 각론으로 들어가자 합의점을 못 찾고 결국 하노이회담 '노딜'로 끝났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지난 2019년 2월 28일) : (영변 플러스 알파를 원한 건가요?) 네, 더 필요했어요. (우라늄 농축 시설?) 맞습니다. 우리가 아는 걸 북측도 놀라는 눈치였어요.] <br /> <br />지난해 오늘쯤 발송된 김정은 친서가 6월 30일 사상 첫 남북미 정상회동으로 연결됐지만 일회성 행사에 그쳤고, 두 정상의 친분으로 가까스로 이어졌던 대화 실마리도 지금은 끊어진 상황. <br /> <br />북미 관계의 희망이 절망으로 바뀌었다는 북한 외무상 담화는 깊은 실망감의 표현입니다. <br /> <br />[김준형 / 국립외교원 원장 : (북한은) 문제가 될 때마다 싱가포르 정신으로 돌아가자, 합의 정신으로 돌아가자 했거든요. 30여 년 간의 핵 줄다리기는 미국식 방법으로 해왔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그걸 바꿨다고 생각하거든요. 그런데 지난 2년 돌아보면 같았다는 거잖아요.] <br /> <br />북한이 11월 대선 전, 미국의 관심을 끌기 위해 무력 도발을 할 가능성이 없지는 않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북미 '싱가포르 선언'의 유산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가운데, 북한이 ICBM 발사나 핵실험 같은 전략 도발의 한계선은 넘지 않고 다음 협상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61216261406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