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군함도 역사왜곡·과거 미화' 日 산업유산정보센터 공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역사를 왜곡하는 내용이 담긴 일본의 전시시설이 오늘(15일) 도쿄에서 일반에게 공개됐습니다.<br /><br />강제징용을 인정하고 희생자를 기리는 조치를 하겠다는 국제사회와의 약속도 지키지 않아 안팎에서 비판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도쿄에서 김호준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일본이 도쿄에 설립된 근대산업유산 관련 기록을 담은 전시 시설, 산업유산정보센터를 관람객에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일본 정부가 지원하는 산업유산국민회의라는 단체가 운영하는 센터에는 메이지 시대 산업유산 23곳이 소개돼 있는데 군함도로 잘 알려진 하시마 등 조선인 강제노역 시설 7곳도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일본이 센터 설립 과정에 했던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2015년 근대산업유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던 일본은 강제징용 피해 역사를 외면한다는 비판이 일자 강제노역을 인정하고 희생자를 기리는 조치를 약속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사토 구니 주 유네스코 일본대사는 "일본은 정보센터 설치 등 피해자들을 기리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해석전략에 포함시킬 준비가 되어 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오늘 공개된 센터에는 강제징용 피해에 대한 내용은 찾아보기 어렵고 일본의 산업화 성과를 자화자찬하는 내용이 가득 합니다.<br /><br />심지어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가 발생한 군함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재일교포 2세의 증언 동영상을 통해 징용 피해 자체를 부정하는 모습까지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아버지가 당시 군함도 탄광촌에서 중간 관리자급으로 일했다는 스즈키씨는 동영상에서 "나는 괴롭힘을 당한 적이 없다"면서 "오히려 귀여움을 받았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일본 내에서도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교도통신은 "역사 수정주의를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"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일본이 역사를 왜곡하는 센터를 일반에 공개하면서 한일 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호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