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대통령이 한국형 뉴딜 관련 첫 현장 행보로 데이터와 인공지능 활용 기업을 방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은 이른바 데이터 댐을 만드는 것이라며, 미국 뉴딜정책의 상징인 후버댐을 빗대 개념을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차정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문재인 대통령이 마우스를 잡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데이터 분류 작업을 합니다. <br /> <br />휴대전화로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비즈니스 플랫폼 개발 과정도 살펴봤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판 뉴딜 발표 이후 첫 현장 행보에 나선 문 대통령은 디지털 뉴딜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대통령 : 그러면 이게 완성되면 모바일 앱을 통해서 재택근무도 할 수 있는 거예요? (그럼요. 당연하죠.)]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디지털 뉴딜이 이른바 데이터 댐을 만드는 것이라며, 미국 뉴딜 정책의 상징인 후버댐을 빗대 개념을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후버 댐에 물을 모아 식수와 수력 발전, 관광 자원으로 활용한 것처럼, 디지털 뉴딜에선 데이터 댐의 정보로 경제의 선순환을 이룰 수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데이터 댐으로 각종 정보를 모으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며,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대통령 : 데이터를 수집하고, 이것을 표준화하고, 이것을 또 가공 결합하고 하는 과정들은 전부 사람들의 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도 많은 일자리들이 생겨나게 되는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정치권에서 속도감 있는 디지털 경제 정책 추진을 위해 데이터 청이나 데이터 거래소 신설 아이디어를 쏟아내는 것도 문 대통령이 언급한 데이터 댐과 비슷한 맥락입니다. <br /> <br />대공황 시대의 뉴딜처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경제 위기 극복의 기반이 될 한국판 뉴딜은 다음 달 정부 종합계획 발표 때 구체적 설계도가 제시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차정윤[jyca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619002846387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