깜깜이 감염 급증…"무증상자 파악 '항체검사' 시급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수도권 뿐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코로나19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깜깜이 환자가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전국적인 유행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무증상 감염자가 얼마나 있는지 파악해 방역조치를 할 수 있도록 '항체 검사'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보도에 이진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근 2주간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는 46.7명으로 이전 2주간(39.6명)에 비해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같은 기간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깜깜이 환자의 비중도 8.1%에서 10.6%로 커졌습니다.<br /><br />그만큼 방역망 밖에서 무증상 감염자로 인한 조용한 전파가 이뤄지고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방역조치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무증상, 경증 감염자가 많은 상황에서 유증상자 중심의 방역체계로는 유행을 모두 차단할 수가 없습니다."<br /><br />방역당국은 지역사회에 무증상 감염자가 어느 정도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'항체 검사'를 준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만약 항체 검사에서 코로나19에 대한 방어력, 항체가 있는지 확인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감염됐다 완치됐거나, 현재 감염 상태인 무증상 감염자란 얘기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 항체 검사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4월 시행 계획을 밝힌 지 두 달이 지났지만, 방역당국이 검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시약을 선정하는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항체 검사에 좀 더 속도를 내서 무증상 감염자를 빨리 찾아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 "이들(무증상자)이 일상생활에서 바이러스를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위 깜깜이 감염, n차 감염이 발생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입니다."<br /><br />방역당국은 다음 주에 시약 중간 평가를 할 계획이지만, 언제 최종 평가까지 마치고 항체 검사에 들어갈지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진우입니다. (jinu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