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공기관 매출 채권에 투자한다며 투자자 모집 <br />기업이 발행한 사채에 투자하며 사기 의혹 불거져 <br />현재까지 펀드 환매 중단 규모만 680억 원대<br /><br /> <br />1조 6천억 원대 환매 중단 사태를 일으킨 라임 사태에 이어 이번에도 또 사모펀드에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펀드 규모만 5천억 원이 넘는 옵티머스자산운용사에서 투자자에게 돌려주지 못하는 투자금이 점차 불어나 벌써 700억 원에 가깝습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문제가 발생한 옵티머스자산운용의 옵티머스크리에이터 펀드. <br /> <br />손실 위험이 낮은 공공기관 매출 채권에 투자한다고 소개하며 연 3% 안팎의 안정적 수익을 내걸고 투자자들을 끌어들였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정작 전혀 관련이 없고 이름조차 생소한 기업들이 발행한 사채에 투자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운용사가 297억 원 규모 펀드 만기를 앞두고 판매사에 만기 연장을 요청하면서 이미 환매가 중단된 2개 펀드를 더해 환매 중단 규모만 680억 원대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이뿐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이 펀드의 설정 잔액은 5천억 원이 훌쩍 넘는데, 이 가운데 NH투자증권의 판매분이 가장 많은 상황. <br /> <br />업계에선 환매 중단 규모가 더 늘어날 거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판매사와 운용사 측의 입장은 엇갈립니다. <br /> <br />판매사들은 운용사 측이 투자 내용을 속였다는 입장이지만, 운용사 측에선 오히려 법무법인이 관련 서류를 위조했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운용사 자문단에 전직 정관계 인사들이 이름을 올렸던 것으로 확인되며 의혹은 걷잡을 수 없이 번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가 불거지자 금융당국도 뒤늦게 실태 파악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금감원은 지난 19일부터 현장 검사에 나섰고,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금감원과 협의해서 사모펀드 전수 조사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판매사들이 운용사 측을 사기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면서 사태는 검찰 수사로도 번졌습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선 이번 사태가 제2의 라임 사태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, 최소 800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는 개인 투자자들의 시름은 더 깊어지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[dh0226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62417014476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