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천공항공사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었던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 1호 사업장인데요. <br /> <br />이에 따라 구본환 인천공항공사 사장은 지난 22일 1,900여 명의 보안검색요원을 청원경찰로 직접 고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른 후폭풍이 거센데요. <br /> <br />이번 사안과 관련해 각각의 입장이 무엇이고 또 오해가 있는 부분은 어떤 것들인지, 경제부 백종규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세요! <br /> <br />먼저 인천공항공사가 지난 22일 보안검색요원 1,900여 명을 직접고용 하겠다, <br /> <br />결국 공항공사 정규직 직원으로 전환하겠다 이런 입장을 밝혔는데요. <br /> <br />어떤 내용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일요일 그러니까 21일이죠. <br /> <br />인천공항공사는 오후 8시가 넘은 시간에 기자들에게 자료를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만여 명에 이르는 인천공항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이 6월 말에 끝난다는 내용이었는데, <br /> <br />이 자료에 핵심은 보안검색요원 1,900여 명을 청원경찰로 직접 고용하겠다는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구본환 인천공항공사 사장의 이야기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구본환 /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(지난 22일) : 관계기관 협의 및 외부 전문가 자문을 들어서 보안검색요원을 청원경찰로 전환하는 방안을 확정하게 됐습니다.] <br /> <br /> <br />비정규직이었던 보안검색요원을 정규직화한다는 내용인데, 내부 불만이 만만치 않다고요. <br /> <br />직원들 입장은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구본환 사장이 이 방안을 발표하기로 한 날 수백 명의 직원들이 나와 항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사의 기습 결정에 반발한 겁니다. <br /> <br />공사 정직원들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라는 사회적 흐름에는 공감하지만, 공사가 노조와 그리고 직고용 당사자들과 협의도 없이 이런 내용을 기습적으로 밝혔다는 게 가장 큰 불만입니다. <br /> <br />정규직 노조는 3년 동안 협의를 거쳐 보안검색 요원을 우선 자회사 직원으로 전환하기로 했는데, 공사가 그간의 협의 내용과 달리 갑자기 본사 직고용으로 결정을 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노동자들끼리도 이런 방향으로 합의가 이뤄지는 상황이었지만, 갑자기 공사가 입장을 바꾼 점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건데요. <br /> <br />정규직 노조위원장의 이야기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장기호 / 인천국제공항공사 노조위원장: 노동자의 의견이 배제됐기 때문에 우리는 인천공항 노동자 정규직뿐만 아니라 비정규직 노동자는 사장의 일방적인 발표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게 입장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62513071209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