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남 군사행동 보류를 결정한 뒤 대남 확성기를 모두 철거했던 북한이 이틀째 남측에 대한 비난 여론전도 전면 중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북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은 우리 정부의 행동에 따라 남북관계 전망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해 그 진의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황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 당 중앙군사위의 대남 군사행동 보류 결정 이후 대외 선전 매체에서 우리 정부 비난 기사를 삭제한 북한. <br /> <br />관영 매체에서도 연일 지면 상당 부분을 채웠던 대남 비난 기사를 모두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북한 주민들이 접하는 노동신문과 민주조선 등에서 대북전단이나 우리 정부에 대한 비판은 사라졌고, <br /> <br />대신 6·25 70주년을 맞아 애국심과 체제 수호 의지를 다지는 기사들이 그 자리를 채웠습니다. <br /> <br />[이수석 /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 : 북한으로서는 대남, 대미 강경정책을 통해서 얻을 것이 없기 때문에 잠깐 숨 고르기, 시간을 두고 관망하면서 우리 정부나 미국 정부가 어떻게 나올 것인지를 지켜보면서 그다음 수순을 밟을 것으로 생각됩니다.] <br /> <br />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의 담화도 눈길을 끌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대남 군사계획은 완전 철회돼야 한다는, 정경두 국방 장관의 발언을 문제 삼았지만, 우리 정부의 태도에 따라 남북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고 언급한 부분이 더욱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대북전단을 빌미로 남북 연락사무소 폭파까지 감행했던 북한이 한발 물러서 상황 관리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해석되는 대목입니다. <br /> <br />[홍현익 /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: 8월에 한미연합훈련을 대대적으로 할 수 있는 명분이 생기죠. 지금 잘하면 또 이번에 연기시킬 수도 있는데. 이걸 갖다가 계속 도발하면 당연히 대대적으로 하게 되죠. 거기다 핵전략 자산 막 들어오죠. 그리고 한국의 대북 적개심, 국민들의 대북감정 나빠지죠. 그렇게 되니까 김정은이 얻을 게 없잖아요.] <br /> <br />다만 이후 정세가 북측이 원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지 않을 경우 언제든 다시 대남 군사행동 카드를 꺼내 들 수 있다는 점에서 긴장의 끈은 여전히 팽팽한 상황. <br /> <br />북한 노동당 중앙군사위가 곧 본회의를 열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, 김정은 위원장이 이번에는 어떤 결정을 들고 나올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황혜경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62521564893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