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확산세 지속에 해외 파견 노동자 안전 위협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세계에서 확산하면서 해외 현장에서 일하는 한국 근로자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심지어 목숨을 잃는 일까지 발생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건설 업체가 대거 진출한 중동 지역이 특히 우려가 큽니다.<br /><br />이상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가 재확산 조짐을 보이면서 해외 한국 노동자의 안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로 한국인 노동자가 목숨을 잃거나 공장이 멈춰서는 일이 잇따르고 있고, 추가 감염 우려도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건설업체가 대거 진출한 중동 지역이 노동자의 수도 많고 상대적으로 의료체계가 부실해 대책이 촉구됩니다.<br /><br />5월 초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일하던 건설사 주재원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치료받던 도중 숨을 거뒀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에는 이라크의 한국 건설사 직원과 협력업체 소장 등 2명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숨졌습니다.<br /><br />작년 기준 전세계 1천600여개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한국인 노동자는 1만2천명으로, 중동 310여 곳에서 일하는 노동자만 5천600여명으로 파악됩니다.<br /><br />미주와 아시아 지역에서도 코로나19 감염자 발생으로 공장이 멈춰서는 일이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현대차 앨라배마 공장은 지난 3월 직원 1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폐쇄됐다가 47일 만에 재가동됐습니다.<br /><br />인도 삼성전자 휴대전화 공장은 지난달 직원 1명이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일부 생산라인이 멈췄었고, 현대차와 기아차 공장도 직원 감염으로 한때 비상이 걸린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베트남서는 삼성디스플레이 박닌공장 직원이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건물 일부가 폐쇄되고 직원 200여명이 한때 격리됐습니다.<br /><br />최근 해외 주재 한국 기업들은 재택근무를 늘리고 발열 검사를 확대하는 등 방역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도 현지 외교공관을 중심으로 귀국과 방역 물품 지원, 화상 의료상담 등 각종 대책을 마련해 시행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상현입니다. (hapyry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