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량 제한 없이 마스크 산다…공적마스크 폐지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 초기 마스크 대란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공적 마스크 제도가 넉달여만에 폐지됩니다.<br /><br />생산량이 대폭 늘어나면서 수급에 문제없다고 판단한 결과인데요.<br /><br />보도에 이진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 초반에만 해도 마스크 사기는 쉽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대형마트와 우체국 앞에 긴 줄이 늘어섰지만, 순식간에 동나버렸습니다.<br /><br />급기야 정부가 1인당 구매 수량을 제한하는 '공적 마스크' 제도를 도입했는데, 넉 달이 지난 현재는 마스크를 사기 위해 줄을 서는 사람은 없습니다.<br /><br />식품의약품안전처가 오는 12일부터 공적마스크제 폐지 계획을 밝힌 이유입니다.<br /><br /> "생산역량 확대, 수요 안정 등 변화된 수급상황을 반영해 소비자후생 증대, 사각지대 방지, 산업 자생력 확보, 비상상황 대비 철저의 기본 원칙하에 새로운 마스크 수급조정조치를…"<br /><br />실제 인센티브 지급 등이 시행되면서 마스크 생산량이 대폭 늘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생산량은 일주일에 1억개 이상으로, 지난 1월과 비교하면 2배가 넘는 규모입니다.<br /><br />가격도 안정세입니다.<br /><br />KF94 보건용 마스크의 평균가격은 2월 넷째주 2,751∼4,221원에서, 이달 첫째주에는 1,694∼2,100원으로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여름철 수요가 늘어난 침방울 차단 마스크도, 지금처럼 수량 제한 없이 계속 살 수 있게 하고, 생산과 공급 확대를 지원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다만 의료기관이 사용하는 수술용 마스크는 공적 공급을 유지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또다시 마스크 대란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구매수량 제한, 구매 요일제 등 공적 개입으로 돌아가겠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진우입니다. (jinu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