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의 세계적 재확산 위험이 여전히 큰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국내 코로나19 상황을 보면 지역사회 발생 보다 해외 유입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정부가 입국 외국인에 대한 조치를 강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너무 소극적인 조치가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어떤 내용인지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방역 당국은 어제부터 방역강화 대상 국가에서 입국하는 모든 외국인에 대해, 음성확인서 제출을 의무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이들 국가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정기항공편의 좌석점유율도 60% 이하로 낮췄습니다 <br /> <br />논란이 되는 건 방역대상 국가가 네 곳밖에 안 된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방글라데시와 파키스탄, 카자흐스탄, 키르기스스탄 등 4개국인데요. <br /> <br />방역 당국의 설명 들어볼까요. <br /> <br />[윤태호 /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 : 입국자 수 중에서 발생하는 확진자 수가 상당히 높은 그런 특성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최근 2주 동안 국내 유입 사례를 반영해 4개 국가를 방역강화 국가로 지정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러한 설명에도 다소 아쉬운 결정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최대 발생국인 미국은 물론이고, 브라질과 인도, 러시아 같은 대규모 환자 발생 국가는 모두 빠졌기 때문이죠. <br /> <br />당국이 외교적 측면을 고려한 게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[정기석 /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: 물론 충분하지는 않죠. 그런데 이게 외교 문제도 있고 상호 호혜 문제가 있으니까 사실은 네 나라에 국한돼 있지만, 며칠 사이에 필리핀에서도 대단히 많은 환자가 들어오고 어느 나라 할 것 없이 다 환자들이 창궐하고 있는 나라들에 대해서는 다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일단 방역 당국은 추가로 11개 국가의 환자 발생 추이도 감시하고 있고, 확진자가 늘어난다면 방역강화 국가로 지정하는 것을 검토한다는 방침인데요, <br /> <br />방역과 외교·경제 사이에서 줄타기해야 하는 당국의 고심도 깊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조태현[choth@ytn.co.kr]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71412551546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