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이 미국 정부가 요구한 시한에 맞춰 철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이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 폐쇄 통보로 맞대응에 나서자 미 백악관은 보복 조치를 중단하라고 강력히 경고하는 등 미중 갈등이 갈수록 격화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 이교준 기자! <br /> <br />72시간의 시한을 정했는데요. 시한에 맞춰 중국 총영사관이 철수한 것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은 미 정부가 요청한 시한에 맞춰 직원들을 철수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현지 시각 24일 이른 아침부터 영사관 주변에 대형 트럭 등을 배치해 짐을 실어날랐다고 현지 매체 휴스턴 크로니클이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총영사관 입구에 걸려있던 오성홍기가 내려졌고, 중국 정부의 간판 등도 철거됐습니다. <br /> <br />퇴거 시한을 넘긴 오후 4시 40분쯤 미 국무부 소속 관리들이 영사관 뒷문을 강제로 열고 진입해 영사관을 접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휴스턴 총영사관은 미국과 중국이 외교 관계를 맺은 1979년 중국이 미국에 처음 문을 연 영사관이어서 상징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 <br />중국 정부가 맞대응 조치로 청두의 미국 총영사관을 폐쇄하라고 통보했는데 미 정부는 어떤 반응을 보였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 정부는 보복 조치를 중단하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백악관은 중국공산당이 '이에는 이' 방식의 보복에 관여하기보다는 해로운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폐쇄 조치의 정당성을 거듭 강조했는데요. <br /> <br />케일리 매커내니 백악관 대변인은 미국의 지적 재산권과 미국 국민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취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 법무부 고위 당국자는 휴스턴 총영사관의 첩보 활동 등은 도를 넘은 최악의 수준이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관련된 정보를 빼돌린 정황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 가운데 미 당국이 중국인 연구원을 체포하는 등 첩보활동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면서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 법무부는 샌프란시스코 주재 중국 총영사관에 숨어있던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학 군사연구원 탕주안을 체포했다고 밝혔는데요. <br /> <br />미국에 비자를 신청하면서 중국 인민해방군 복무 경력 등을 숨기고 허위 사실을 기재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FBI는 그 증거로 인민해방군 제복을 입은 사진을 확보했는데 이에 탕 연구원은 자신이 공군 의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72512150338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