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이 미국 정부가 요구한 폐쇄 시한에 맞춰 간판을 내리고 철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이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 폐쇄 통보로 맞받아치자 백악관은 중국에 보복 조치를 중단하라고 강력히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 강태욱 특파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텍사스주에 있는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정문입니다. <br /> <br />문이 닫힌 채 자물쇠가 채워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영사관에는 대형 트럭이 배치됐고 직원으로 보이는 사람들이 영사관 물건을 옮기는 모습도 포착됐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중국이 외교 관계를 맺은 1979년 중국이 미국에 처음 개설한 휴스턴 영사관이 미국 정부의 요구에 따라 결국 폐쇄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중국 정부도 청두에 있는 미국 총영사관 폐쇄 요구라는 맞불을 놨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왕이 외교부장은 미·중 관계가 직면한 어려움은 완전히 미국 혼자 만든 것이며 목적이 중국의 발전과정을 철저히 끊으려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백악관은 중국에 보복을 멈추고 해로운 행위를 중단하라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[케일리 매커내니 / 백악관 대변인 : 중국 공산당이 이에는 이 식의 보복을 멈추고 해로운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합니다. 논의하고 있는 부분입니다.] <br /> <br />그러면서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폐쇄의 정당성을 거듭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케일리 매커내니 / 백악관 대변인 :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폐쇄 조치는 미국을 보호하기 위해 취해졌습니다. 특히 미국의 지적 재산권과 미국인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입니다.] <br /> <br />미국 관련 부처 당국자들도 일제히 나서서 배경 설명을 하는 등 정당성을 주장하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법무부 관계자는 모든 국가의 공관이 정보활동의 거점이라는 점을 인정하지만, 휴스턴 총영사관은 수용하고자 하는 선을 훨씬 넘었다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보기관 당국자도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공격적이었고 최근에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에도 손을 뻗치는 등 미국 전역에서 가장 심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영사관 폐쇄를 주고 받은 미국과 중국의 다음 행동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주목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강태욱[taewook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72513094892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