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복되는 도심 물난리…"중장기적 대책 필요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이어지는 집중호우로 얼마 전 서울 강남역 일대가 또 다시 물에 잠기는 등 서울 도심의 피해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집중호우의 빈도와 양이 갈수록 증가하면서 이에 대비한 중장기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김민혜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갑작스러운 폭우에 물바다로 변한 강남역 일대.<br /><br /> "비가 당시에 10분당 18~19mm 왔거든요. 감당 못하고 역류한 것 같아요."<br /><br />폭우 때마다 문제가 반복되자 5년 전, 서울시는 빗물을 분산시켜 내보내거나 하수관을 빗물펌프장으로 우회하도록 하는 등의 대책을 세웠지만 보수공사 등으로 당초보다 늦은 2022년 말에나 완료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 과거에 지은 배수시설들이 국지성 집중호우를 감당하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 진단입니다.<br /><br /> "당시는 30~50년 빈도 강우에 견디게끔 설계를 했거든요. 당시에는 합당했지만 상당히 도심지 홍수 예방 기준을 만족 못하는 상황이…"<br /><br />하지만 기존 관로를 꼼꼼히 재정비하는 것만으로도 큰 피해는 막을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 "역경사도 있고 관 안에 들어가면 병목지구가 상당히 많습니다. 일체적으로 개선을 해야 합니다. 전반적으로 점검이 안 되어 있습니다."<br /><br />극심한 강우에 대비해 지하에 큰 터널을 뚫어 물을 흘려보내는 방수로 같은 배수 시스템 도입도 고려해볼 만 하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실제 2005년 서울 도림천 등지에 지하방수로 사업이 추진됐지만, 예산 등의 이유로 진행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또 도심지 수해는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, 빗물이 땅에 흡수되지 못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도 원인으로 꼽히는 만큼 이에 대비한 중장기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