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, 진료상황실 가동…응급환자 등 병원 이용 불편 최소화 <br />복지부 장·차관, 필수 유지 의료 분야 진료 차질 여부 점검 <br />정부·의료계 이견 못 좁혀…14일 의협 파업 불씨 남아<br /><br /> <br />정부는 24시간 비상진료상황실을 가동하고 전공의들의 업무 공백에 따른 진료 차질이 빚어지지 않는지 상황 파악에 전력했습니다. <br /> <br />의료계에는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자고 거듭 요청했는데 입장 차이가 워낙 커서 14일로 예고된 의사협회의 파업까지 막긴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김정회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공의들의 파업 시작과 함께 복지부와 각 지자체는 비상진료상황실을 가동했습니다. <br /> <br />응급환자와 시민의 병원 이용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. <br /> <br />비상진료 병원, 집단 휴진으로 불참하는 병원의 명단도 응급의료정보센터 누리집과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했습니다. <br /> <br />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 김강립 차관은 오전, 오후 잇따라 대학 병원을 찾아 수술실과 응급실, 중환자실 등 필수 유지 의료 분야에서 진료 공백이나 진료 차질이 있는지 점검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능후 / 보건복지부 장관 : 중증·응급환자 등에게는 억울한 피해가 생기지 않록 해주길 당부드립니다. 보건복지부도 상황관리전담반을 구성해 각 수련병원의 필수 진료상황을 파악해 협조가 필요한 부분은 적극 협조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동시에 의료계에 대화를 거듭 요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세균 / 국무총리 : 대화와 소통으로 문제를 해결할 것을 간곡히 요청드립니다. 정부도 열린 자세로 의료계와 소통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앞서 정부는 전공의협의회와 대화체 구성까지는 합의했는데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14일 파업을 예고한 의사협회에도 대화체 구성을 제의했지만, 의대 증원 방침을 분명히 해 거부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부족한 국내 의사 수를 고려해 10년간 4천 명 추가 양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이 중 3천 명은 지역 의료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 의사로 키우겠다는 방침인데 의료계는 사전 논의 없는 졸속 행정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부족한 원인에 대한 근본적 해답이 없고 증원 인력에 대한 관리, 감독도 안 되며 국민 세금만 늘리는 결과를 낳을 거라는 주장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11일 전공의협의회와 협의체 첫 회의를 진행하고 의협과도 계속 대화에 나설 방침인데 입장 차이가 커 의협의 파업 철회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정회입니다.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80721154501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